유형 8번에 비교식을 쓸 때 절대참조와 상대참조를 비교하여 작성하였기에 비교식 쓸 때는 한쪽은 절대참조, 다른 쪽은 상대참조를 쓰는 줄 알았는데...
유형 3번을 보니까 상대참조만 쓰더라고요. 유형 8번과 비교하여 왜 유형 3번에는 절대참조를 적지 않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유형 8과 같이 [i2]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채우기 핸들을 드래그하여 나머지 셀에도 값을 구해야 하는 경우, 셀 주소를 상대 참조로 지정하면 수식이 입력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되고, 절대 참조로 지정하면 고정적으로 들어갑니다. $F$2:$F$9와 $H$2:$H$9는 항상 고정적으로 들어가야 하므로 절대참조로 지정한 것입니다. [i2]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채우기 핸들을 아래로 드래그하면 아래와 같이 변경되어 각 셀에 입력됩니다.
[i2] : =LEFT(F2,3) & SUM(IF( (LEFT(F2,3)=LEFT($F$2:$F$9,3)) * (H2<$H$2:$H$9), 1 ))+1
[i3] : =LEFT(F3,3) & SUM(IF( (LEFT(F3,3)=LEFT($F$2:$F$9,3)) * (H3<$H$2:$H$9), 1 ))+1
[i4] : =LEFT(F4,3) & SUM(IF( (LEFT(F4,3)=LEFT($F$2:$F$9,3)) * (H4<$H$2:$H$9), 1 ))+1
[i5] : =LEFT(F5,3) & SUM(IF( (LEFT(F5,3)=LEFT($F$2:$F$9,3)) * (H5<$H$2:$H$9), 1 ))+1
...
유형 3의 경우는 하나의 셀에만 값을 구해야 하므로 절대참조로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5-06-27 12:10:38
안녕하세요.
유형 8과 같이 [i2]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채우기 핸들을 드래그하여 나머지 셀에도 값을 구해야 하는 경우, 셀 주소를 상대 참조로 지정하면 수식이 입력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되고, 절대 참조로 지정하면 고정적으로 들어갑니다. $F$2:$F$9와 $H$2:$H$9는 항상 고정적으로 들어가야 하므로 절대참조로 지정한 것입니다. [i2]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채우기 핸들을 아래로 드래그하면 아래와 같이 변경되어 각 셀에 입력됩니다.
[i2] : =LEFT(F2,3) & SUM(IF( (LEFT(F2,3)=LEFT($F$2:$F$9,3)) * (H2<$H$2:$H$9), 1 ))+1
[i3] : =LEFT(F3,3) & SUM(IF( (LEFT(F3,3)=LEFT($F$2:$F$9,3)) * (H3<$H$2:$H$9), 1 ))+1
[i4] : =LEFT(F4,3) & SUM(IF( (LEFT(F4,3)=LEFT($F$2:$F$9,3)) * (H4<$H$2:$H$9), 1 ))+1
[i5] : =LEFT(F5,3) & SUM(IF( (LEFT(F5,3)=LEFT($F$2:$F$9,3)) * (H5<$H$2:$H$9), 1 ))+1
...
유형 3의 경우는 하나의 셀에만 값을 구해야 하므로 절대참조로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