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컴활1급실기 2025_최신기출유형_03회 계산작업
도서
2025 시나공 컴퓨터활용능력 1급 실기 기출문제집 (ver.2021)
페이지
0
조회수
45
작성일
2025-06-20
작성자
권*양
첨부파일

2025_최신기출유형_03회



1. 계산작업-2번


정답 : =E3*HLOOKUP(E3,$F$23:$I$25,MATCH(C3,{"합정","신촌"},-1)+1)


오답 : =E3*HLOOKUP(E3,$F$23:$I$25, MATCH(C3,$E$24:$E$25,-1)+1,TRUE)


2. 계산작업-4번


정답 : =INDEX($A$3:$I$20,MATCH(MAX(($D$3:$D$20=A25)*$G$3:$G$20),($D$3:$D$20=A25)*$G$3:$G$20,0),1)


오답 : INDEX( (A24=$D$3:$D$20)*$A$3:$I$20, MATCH( max(((A24=$D$3:$D$20)*$G$3:$G$20), (A24=$D$3:$D$20)*$G$3:$G$20)), 1)


고객명을 index로 가져올때도 담당자 일치하는 범위 내에서 가져오는게 아닌건가요..?

답변
2025-06-25 10:59:22

안녕하세요.

[표1]의 대리점명은 “목동”, “신림”, “신촌”, “합정” 중 하나인데, [표3] 매출금액별 할인율의 ‘대리점명’에는 “합정”과 “기타”가 있습니다. 즉 대리점명을 “합정”과 “합정” 이외의 대리점으로 구분하여 할인율을 적용해야 하는데, 찾을 데이터가 “합정”과 “기타”처럼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는 경우에는 “합정”만 정확히 찾아 1을 반환하고 나머지 “목동”, “신림”, “신촌”은 모두 “기타”에 해당하는 2를 반환하게 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려면 “목동”, “신림”, “신촌”, “합정”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뒤 첫 번째와 두 번째에 해당하는 데이터 “합정”과 “신촌”만 사용하면 됩니다. MATCH 함수의 옵션 “–1”은 찾을 값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데이터가 없으면 찾으려고 하는 값보다 크면서 가장 근접한 값을 찾아 일련번호를 반환하기 때문입니다. “합정”과 “신촌”은 정확하게 찾아 1과 2를 반영하고, “신림”과 “목동”은 정확한 값이 없으므로 각각 “신림”과 “목동”보다 크면서 가장 근접한 값 “신촌”을 찾아 그에 해당하는 일련번호 2를 반환합니다. 만약 찾을 데이터를 “합정”과 “기타”로 해서 찾으면 “신촌”, “신림”, “목동”은 모두 정확한 값이 없으니 자기보다 크면서 가장 근접한 값 “합정”을 찾아 1을 반환합니다. 그러니까 “신촌”이 “기타” 역할을 하게 만든 거죠 $E$24:$E$25 영역을 이용하면 합정과 합정이 아닌 경우 기타로 계산되지 않습니다.

MATCH 함수에서 값을 찾을 때 (A24=$D$3:$D$20)*$G$3:$G$20 영역에서 값을 찾지만 위치를 반환할 때는 $G$3:$G$20 영역에서의 위치를 반환하므로 INDEX 함수에서는 A24=$D$3:$D$20을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
    2025-06-25 10:59:22

    안녕하세요.

    [표1]의 대리점명은 “목동”, “신림”, “신촌”, “합정” 중 하나인데, [표3] 매출금액별 할인율의 ‘대리점명’에는 “합정”과 “기타”가 있습니다. 즉 대리점명을 “합정”과 “합정” 이외의 대리점으로 구분하여 할인율을 적용해야 하는데, 찾을 데이터가 “합정”과 “기타”처럼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는 경우에는 “합정”만 정확히 찾아 1을 반환하고 나머지 “목동”, “신림”, “신촌”은 모두 “기타”에 해당하는 2를 반환하게 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려면 “목동”, “신림”, “신촌”, “합정”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뒤 첫 번째와 두 번째에 해당하는 데이터 “합정”과 “신촌”만 사용하면 됩니다. MATCH 함수의 옵션 “–1”은 찾을 값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데이터가 없으면 찾으려고 하는 값보다 크면서 가장 근접한 값을 찾아 일련번호를 반환하기 때문입니다. “합정”과 “신촌”은 정확하게 찾아 1과 2를 반영하고, “신림”과 “목동”은 정확한 값이 없으므로 각각 “신림”과 “목동”보다 크면서 가장 근접한 값 “신촌”을 찾아 그에 해당하는 일련번호 2를 반환합니다. 만약 찾을 데이터를 “합정”과 “기타”로 해서 찾으면 “신촌”, “신림”, “목동”은 모두 정확한 값이 없으니 자기보다 크면서 가장 근접한 값 “합정”을 찾아 1을 반환합니다. 그러니까 “신촌”이 “기타” 역할을 하게 만든 거죠 $E$24:$E$25 영역을 이용하면 합정과 합정이 아닌 경우 기타로 계산되지 않습니다.

    MATCH 함수에서 값을 찾을 때 (A24=$D$3:$D$20)*$G$3:$G$20 영역에서 값을 찾지만 위치를 반환할 때는 $G$3:$G$20 영역에서의 위치를 반환하므로 INDEX 함수에서는 A24=$D$3:$D$20을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