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DAVG, DSUM 등과 같은 도메인 함수는 다음과 같이 각 인수를 큰따옴표로 묶어서 입력합니다.
DAvg(“매출수량”, “상품매출관리”, “지역코드=cmb지역코드”)
DSum(“대여금액”,“대여내역입력”,“도서명= ‘귀천’”)
DCount(“고객코드”,“대여내역입력”,“이름=txt이름”)
DCount(“고객코드”,“대여내역입력”,“이름=txt이름”)
이거 txt 이름은 " " 그냥 다 묶어서 하는데 이 기준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DCOUNT, DSUM, DAVG 등의 도메인 계산 함수의 인수는 모두 큰따옴표(")로 묶어서 지정해야 합니다.
DAvg(“매출수량”, “상품매출관리”, “지역코드=cmb지역코드”)
즐거운 하루 되세요.
- 물어보는 것은 어떤 것은 "‘귀천’" 하고 서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텍스트 값을 비교할 때는 변수="텍스트"입니다. 그런데 DSUM, DAVG 함수의 각 인수는 큰따옴표로 묶어서 지정해야 하므로 큰따옴표 안에 큰따옴표를 지정할 수 없으니 작은따옴표로 "변수='텍스트'", 이때 텍스트가 아닌 컨트롤에 입력된 값과 비교할 때는 작은따옴표 없이 "변수=컨트롤이름"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 어떤 경우에 쓰는 것인가요'라고 하셨는데, 어느 부분에서 말씀하시는 건가요? LKIE 함수에서는 모든 문자, COUNT(*)에서는 필드 상관없이 전체 개수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5-03-25 14:52:50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텍스트 값을 비교할 때는 변수="텍스트"입니다. 그런데 DSUM, DAVG 함수의 각 인수는 큰따옴표로 묶어서 지정해야 하므로 큰따옴표 안에 큰따옴표를 지정할 수 없으니 작은따옴표로 "변수='텍스트'", 이때 텍스트가 아닌 컨트롤에 입력된 값과 비교할 때는 작은따옴표 없이 "변수=컨트롤이름"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 어떤 경우에 쓰는 것인가요'라고 하셨는데, 어느 부분에서 말씀하시는 건가요? LKIE 함수에서는 모든 문자, COUNT(*)에서는 필드 상관없이 전체 개수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조*예2025-03-22 01:05:42* 어떤 경우에 쓰는 것인가요?
-
조*예2025-03-22 01:05:24제가 물어보는 것은 여기 부터 이구요, 이거 txt 이름은 " " 그냥 다 묶어서 하는데 이 기준이 무엇인가요? 묶고 어떤 것은 “지역코드=cmb지역코드” 이렇게 하고서 묶고 “이름=txt이름”) 이렇게도 묶고 " 변수" = " 변수" 각각 묶던데 그 기준이 무엇인가요? 어떤 것은 =DMax("승진시험점수","사원정보","직위='사원'") 이렇게 쓰기도 하고 "변수"="변수" 이렇게 쓰기도 하고 "변수 = 변수" 이렇게 쓰는 경우도 있는데 그 기준이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