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QUENCY의 사용법은 잘 알았습니다.
제가 묻고자 했던건....2번 문제에서 FREQUENCY 사용법을 적용할 때 기존의 배열1, 배열2의 크기가 같지 않는데도 사용이 되느냐는 것이였어요...제가 답글을 이해 못해서 그런건가...답변 달아주신 분께서는 배열1과 배열2이 각각 대응되는 크기가 같잖아요? 근데 이 문제에서 나이 배열인 [B3:B10]과 나이의 구간 배열인 [E7:E10]과의 대응 크기가 다르잖아용...
이 문제에서 나이 구간별 인원 수를 알기 위해서 나이의 배열인 [B3:B10]과 대응할 구간을 따로 만들어 내야되는건지....잘 모르겠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자세한 풀이를 다시 한번 질문해보아요~ 알려주세용!
안녕하세요.
배열1과 배열 2의 크기는 같지 않아도 됩니다. 나이를 나타내는 구간이 있으면 개수를 구할 나이가 있는 범위만 지정하는 것으로 두 배열이 같을 필요는 없습니다.
FREQUENCY 함수는 배열 함수로 결과값이 들어갈 F7:F10 영역을 블록으로 지정한 후 수식을 입력한 다음 [Ctrl]+[Shift]+[Enter]를 눌러 수식을 입력합니다. 그러면 한번에 F7:F10 영역에 값이 입력되는 것입니다. 고로 나이의 범위를 나타내는 E7:E10과 결과값이 들어갈 F7:F10은 범위의 크기가 동일해야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2-03-29 09:28:17
안녕하세요.
배열1과 배열 2의 크기는 같지 않아도 됩니다. 나이를 나타내는 구간이 있으면 개수를 구할 나이가 있는 범위만 지정하는 것으로 두 배열이 같을 필요는 없습니다.
FREQUENCY 함수는 배열 함수로 결과값이 들어갈 F7:F10 영역을 블록으로 지정한 후 수식을 입력한 다음 [Ctrl]+[Shift]+[Enter]를 눌러 수식을 입력합니다. 그러면 한번에 F7:F10 영역에 값이 입력되는 것입니다. 고로 나이의 범위를 나타내는 E7:E10과 결과값이 들어갈 F7:F10은 범위의 크기가 동일해야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