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번 배열상수는 배열 수식에 사용되는 배열 인수로 알고 있는데 여기서 배열 수식은 배열 인수가 두 개 존재하므로
배열상수하고 배열 인수하고 똑같은 개념인가요?
24번 = replace("monkey",4,6, "ey") - monkey의 시작위치 4인 k부터 6번째인 y까지를 ey로 바꾸라는 것 같은데
6은 끝자리가 아니라 개수를 나타내는 걸로 알고 있는데 왜 이렇게 되는 건가요?
31번은 해설을 봐도 이해가 안되서 자세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10번 : 배열상수는 배열 수식에 사용되는 배열 인수가 맞습니다. 배열 수식의 인수는 하나 또는 그 이상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 24번 : 6은 개수가 맞습니다. monkey의 4번째부터 6글자를 표시해야 하는데 monkey는 4번째 이후로 3글자 밖에 없으므로 맨 끝 글자, 즉 6번째에 있는 y자 까지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 31번 : 해설을 다시 한번 읽어 보시고 어느 부분이 어떻게 이해가 안되는지 자세히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단신히 이해가 안된다고 하시면 교재에 있는 설명을 다시 쓰는 것 밖에는 되지 않습니다. 참고로 해당 문제는 좀 특이하게 출제된 문제로 앞으로 다시 출제된다면 동일하게 출제될 확률이 높으니 문제와 정답을 암기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3-02-27 23:32:51
안녕하세요.
- 10번 : 배열상수는 배열 수식에 사용되는 배열 인수가 맞습니다. 배열 수식의 인수는 하나 또는 그 이상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 24번 : 6은 개수가 맞습니다. monkey의 4번째부터 6글자를 표시해야 하는데 monkey는 4번째 이후로 3글자 밖에 없으므로 맨 끝 글자, 즉 6번째에 있는 y자 까지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 31번 : 해설을 다시 한번 읽어 보시고 어느 부분이 어떻게 이해가 안되는지 자세히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단신히 이해가 안된다고 하시면 교재에 있는 설명을 다시 쓰는 것 밖에는 되지 않습니다. 참고로 해당 문제는 좀 특이하게 출제된 문제로 앞으로 다시 출제된다면 동일하게 출제될 확률이 높으니 문제와 정답을 암기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