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번 선지: 데이터 구조의 삭제 또는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를 데이터 조작어라 한다. 이 선지가 틀린 이유는 답이 데이터 조작어가 아니고 데이터 정의어라고 해설은 써져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데이터 구조의 삭제 또는 변경은 데이터 조작어가 하는 역할 중 하나인 데이터 처리(검색, 삽입, 삭제, 변경)와는 다른 건가요?
p.359 #9
9번 문제는 데이터베이스 모델에 관한 문제인데 교재의 어떤 부분을 보고 문제를 풀 수 있는 건가요? 제가 알기로는 교재에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E-R 모델만 나와 있고 데이터 베이스 모델의 정의나 관련 설명 또한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의 선지에 나오는 계층형, 네트워크형, 관계형은 교재 343페이지인 DBMS 종류와 이름이 같은데 데이터 베이스 모델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같은 말인가요? 같은 말이라고 하더라도 DBMS 설명 또한 없는데 어떻게 문제를 풀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만약 1~3번의 선지의 말을 바꾸어 틀린 답을 유도할 때 뭘 보고 틀렸다고 근거를 잡을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만약 제가 교재를 다 숙지하지 못해서 교재에 있는 내용인데 제가 찾지 못하는 거라면 그것도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360 #17 3번 선지
개체 관계도에 대한 설명으로 개체, 개체타입, 관계, 속성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교재에는 개체, 관계, 속성만 나와 있는데 그렇다면 개체와 개체타입의 차이는 무엇이고 어떤 관계가 있나요?
p.361 #27
정규화 과정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릴레이션에 속하는 모든 도메인이 원자값만으로 되어 있다는 말이 무슨 말인가요? 원자값의 의미를 찾아보니 속성값이 더이상 논리적으로 분해되지 않는 값을 말하며 릴레이션에서의 모든 열과 해의 위치에 있는 데이터값은 단 하나의 값만 가질 수 있다고 나와 있는데 #27에서 기본키의 정보가 없어서 삽입 이상이 생긴 경우가 하나의 값인 원자값이 없어서 이상이 생긴 경우이므로 이는 제 1 정규화과정이라는 말인가요?
릴레이션 r이 1NF를 하고 있거나 2NF를 하고 있다는 말은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까요? 1NF의 형식을 가진 테이블을 완전 함수적 종속 관계를 만족시키면 2NF, 2NF의 형식을 가진 테이블을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를 시키면 3NF라고 봐도 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 2번 : 네 다른 것입니다. 데이터 구조 변경 및 삭제는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 변경 및 삭제는 데이터 조작어입니다.
- 9번 : 예상문제은행에 있는 모든 문제에 있는 내용이 본문에 설명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문제에 제시된 내용 정도만 알면 되는 것은 따로 설명이 없으니 문제에 나와 있는 내용정도만 알아두면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문제에 나와 있는 내용과 데이터를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로 표현한 것은 개체-관계 (E-R) 모델이라는 것 정도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 17번 : 개체(Entity) :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해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보 단위
개체 타입 : 개체를 고유의 이름과 속성들로 정의한 것 또는 개체들의 틀
- 정규화 과정을 확실히 이해하려면 내용이 복잡하고 교재 설명만으로는 설명이 어렵습니다. 컴활 필기 시험에서는 교재 354쪽에 나와 있는 정도만 확실히 암기하고 맞힐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니 교재에 있는 내용정도만 암기하고 넘어가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3-02-13 20:37:27
안녕하세요.
- 2번 : 네 다른 것입니다. 데이터 구조 변경 및 삭제는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 변경 및 삭제는 데이터 조작어입니다.
- 9번 : 예상문제은행에 있는 모든 문제에 있는 내용이 본문에 설명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문제에 제시된 내용 정도만 알면 되는 것은 따로 설명이 없으니 문제에 나와 있는 내용정도만 알아두면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문제에 나와 있는 내용과 데이터를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로 표현한 것은 개체-관계 (E-R) 모델이라는 것 정도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 17번 : 개체(Entity) :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해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보 단위
개체 타입 : 개체를 고유의 이름과 속성들로 정의한 것 또는 개체들의 틀
- 정규화 과정을 확실히 이해하려면 내용이 복잡하고 교재 설명만으로는 설명이 어렵습니다. 컴활 필기 시험에서는 교재 354쪽에 나와 있는 정도만 확실히 암기하고 맞힐 수 있는 문제가 출제되니 교재에 있는 내용정도만 암기하고 넘어가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