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활용능력 1급 필기 기본서 2권의 593쪽에 있는 19번 문제에서 보고서의 그룹 바닥글 구역에 '=COUNT(*)'를 입력했을 때 출력되는 결과로 정답이 NULL 필드를 포함한 그룹별 레코드 개수네요. 엑셀에서 사용했던 COUNT 함수를 구할 때는 NULL 값을 제외한 개수이던데요, 엑셀에서 사용하는 함수와 엑세스에서 사용하는 함수는 조금은 다른가요?
빈 문자열과 NULL 값의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602쪽에 있는 매크로 함수 종류 중에서 하위 매크로 함수와 603쪽에 설명되어 있는 다중 매크로 함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 엑셀과 액세스가 다르다고 보면 됩니다.
• 빈 문자열 : 문자가 하나도 없는 문자열
• Null : 필드에 값이 없는, 이론적으로 아무 것도 없는 값
• 하위 매크로는 매크로 안에 들어있는 각각의 매크로를 의미하고 다중 매크로는 하나의 매크로에 여러 개의 매크로가 들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매크로 안에 하위 매크로가 하나만 있다면 다중 매크로는 아니겠죠.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2-04-11 11:39:17
안녕하세요.
• 엑셀과 액세스가 다르다고 보면 됩니다.
• 빈 문자열 : 문자가 하나도 없는 문자열
• Null : 필드에 값이 없는, 이론적으로 아무 것도 없는 값
• 하위 매크로는 매크로 안에 들어있는 각각의 매크로를 의미하고 다중 매크로는 하나의 매크로에 여러 개의 매크로가 들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매크로 안에 하위 매크로가 하나만 있다면 다중 매크로는 아니겠죠.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2-04-13 18:20:25
안녕하세요.
- 네 그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 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22-04-11 21:51:26
답변 잘 읽어보았습니다.
책에서 하위 매크로는 한 개의 매크로 창에서 이름을 갖는 여러 개의 매크로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것이고, 다중 매크로 함수는 하나의 매크로에 여러 개의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설명되어 있는데요, 하위 매크로는 한 개의 매크로 내에 매크로가 더 포함되어 있다는 뜻이고, 다중 매크로 함수는 여러 개의 매크로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인가요?
그리고 다중 매크로 함수는 단일 매크로 함수와 상반되는 개념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