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쪽의 시나공 q&a 베스트와 상관이 있는 건가요? 0이 나오는 것도 참여 개수가 늘어나서 그런게 맞는건지..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평균을 구할 때 0, 5, 5, 0의 평균을 구하면 2.5이지만 0인 경우를 제외하고 5, 5의 평균을 구하면 5가 됩니다. 즉 조건이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제외하고 평균을 구해야 하므로 반드시 IF문을 사용해서 평균을 구해야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1-03-30 09:52:47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평균을 구할 때 0, 5, 5, 0의 평균을 구하면 2.5이지만 0인 경우를 제외하고 5, 5의 평균을 구하면 5가 됩니다. 즉 조건이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제외하고 평균을 구해야 하므로 반드시 IF문을 사용해서 평균을 구해야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1-04-02 10:47:21
안녕하세요.
- 조건을 만족하면 TRUE(1),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FALSE(0)로 반환하는데, 1과 0은 모두 수치 데이터입니다.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수치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면 0까지 포함해서 개수를 구하므로 안되는 것입니다.
- 112쪽에 있는 문제의 경우는 특수한 경우입니다. ‘(고객구분=“정회원”)*(지역=“인천”)'와 같이 지정하면 이것을 조건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구분=“정회원”)*(지역=“인천”)' 이 전체를 그냥 텍스트로 인식한다는 의미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21-03-31 23:07:52
105쪽의 방법3 COUNT에서 IF를 써야 하는 이유가 잘 모르겠네요. COUNT를 방법 1처럼 쓰니 안 되는 건 확인했는데 이게 왜 안 되는건지 논리적으로 생각하는게 어려워 추가 문의합니다. P114의 37번 문제를 풀다가 보기3번이 왜 틀렸는지 무슨 결과값이 나오는지 정확히 몰라서 찾아보다가 이런 질문이 나왔네요.
ps)문제를 풀다가 112쪽의 19번 문제의 보기 3번에서 똑같이 count를 썼다가 틀린 보기가 있는데 여기서 119쪽의 해당 설명을 보니 이게 하나의 데이터, 즉 문자데이터로 취급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그렇다면 문자 데이터로 취급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결과값은 1이나 0, TRUE나 FALSE라고 생각하는데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