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번 문제에서 우선순위가 부여된다는데 이 내용은 처음 듣네요. 그리고 SCSI는 ID번호가 0이라는데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설명해주셨으면 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시험 출현도가 낮고 재출제될 가능성도 낮다고 판단되어, 해당 내용을 깊이있게 다루는게 오히려 지면이나 수험생들의 학습 시간을 낭비하는 꼴이 될 수 있어 '예상문제은행'에 문제만 수록함으로써 이런 문제가 출제된 적도 있다 정도로 소개하고 넘어간 것입니다.
소개된 내용들은 특정한 원칙이나 원리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EIDE 방식에 비해 SCSI 방식이 좀 더 최신에 가까운 방식인데다가, 일반 PC보다는 서버용 워크스테이션에서 주로 사용하던 방식이다 보니, 부팅 시 체크할 때 메인보드에서 메인이 되는 방식인 SCSI 방식에 연결된 하드를 먼저 체크하고 EIDE 방식으로 연결된 하드를 체크하게 됩니다.
(지금으로 비교하면 SSD랑 HDD가 같이 연결되어 있는데 SSD에 연결된 드라이브를 먼저 체크한다.. 정도가 되겠네요.)
SCSI 방식의 하드의 경우 부착된 스위치나 점퍼 등을 이용하여 ID 번호를 세팅하는데, 이를 0으로 맞추는 경우 메인보드는 해당 하드를 이용하여 부팅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1-12 11:51:3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시험 출현도가 낮고 재출제될 가능성도 낮다고 판단되어, 해당 내용을 깊이있게 다루는게 오히려 지면이나 수험생들의 학습 시간을 낭비하는 꼴이 될 수 있어 '예상문제은행'에 문제만 수록함으로써 이런 문제가 출제된 적도 있다 정도로 소개하고 넘어간 것입니다.
소개된 내용들은 특정한 원칙이나 원리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EIDE 방식에 비해 SCSI 방식이 좀 더 최신에 가까운 방식인데다가, 일반 PC보다는 서버용 워크스테이션에서 주로 사용하던 방식이다 보니, 부팅 시 체크할 때 메인보드에서 메인이 되는 방식인 SCSI 방식에 연결된 하드를 먼저 체크하고 EIDE 방식으로 연결된 하드를 체크하게 됩니다.
(지금으로 비교하면 SSD랑 HDD가 같이 연결되어 있는데 SSD에 연결된 드라이브를 먼저 체크한다.. 정도가 되겠네요.)
SCSI 방식의 하드의 경우 부착된 스위치나 점퍼 등을 이용하여 ID 번호를 세팅하는데, 이를 0으로 맞추는 경우 메인보드는 해당 하드를 이용하여 부팅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