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IF($C$2:$C$9=$F4,$D$2:$D$9,0)) 정답이 이거로 나와있는데 맨마지막에 ,0이 무슨의미인지 ,1이랑 뭐가다른지 궁금합니다
개념 설명에서는 배열 수식을 이용하여 개수 구하는 방법에는 =SUM(IF(조건,1)) 이렇게 나와있는데 저기는 왜 ,0이 붙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배열수식을 적용하게 되면 각 행마다 계산하게 됩니다.
c2=f4이면 d2가 배열의 요소에 포함되고, 아니면 0이 들어갑니다.
c3=f4이면 d3이 배열의 요소에 포함되고, 아니면 0이 들어갑니다.
.... 이렇게 진행되면 조건이 참인 값들만 배열에 포함되어
{ 값, 0, 값, 값, 0, 0 }
이런 식으로 들어가게 되겠죠.
이 합이 구해지는 것이 말씀하신 수식입니다.
반면 개수를 구하는 경우에는 다릅니다.
수식도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야 겠죠.
=SUM(IF($C$2:$C$9=$F4,1)) 또는 =SUM(IF($C$2:$C$9=$F4,1,0))
이 경우 조건이 참인 경우 값이 배열의 요소에 포함되는 것이 아닌 1이 포함되게 됩니다.
{ 1, 0, 1, 1, 0, 0 }
따라서 참인 조건들의 1만을 합하게 되므로 참인 개수가 구해지는 것이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10-06 10:45:1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배열수식을 적용하게 되면 각 행마다 계산하게 됩니다.
c2=f4이면 d2가 배열의 요소에 포함되고, 아니면 0이 들어갑니다.
c3=f4이면 d3이 배열의 요소에 포함되고, 아니면 0이 들어갑니다.
.... 이렇게 진행되면 조건이 참인 값들만 배열에 포함되어
{ 값, 0, 값, 값, 0, 0 }
이런 식으로 들어가게 되겠죠.
이 합이 구해지는 것이 말씀하신 수식입니다.
반면 개수를 구하는 경우에는 다릅니다.
수식도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야 겠죠.
=SUM(IF($C$2:$C$9=$F4,1)) 또는 =SUM(IF($C$2:$C$9=$F4,1,0))
이 경우 조건이 참인 경우 값이 배열의 요소에 포함되는 것이 아닌 1이 포함되게 됩니다.
{ 1, 0, 1, 1, 0, 0 }
따라서 참인 조건들의 1만을 합하게 되므로 참인 개수가 구해지는 것이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