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종속성, 종속제거가 무슨말인가요?
도서
2020 시나공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본서]
페이지
337
조회수
278
작성일
2020-10-02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데이터 베이스 종속성 정의가 어떤 말이고 2NF형에서 부분함수 종속제거를 해준다는데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종속관계가 뭐고 이행적 종속관계가 뭔가요?

답변
2020-10-05 15:03:03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정규화에 대한 내용은 컴퓨터활용능력 자격 시험에서는 깊게 들어가지 않으므로, 교재에 설명하고 있는 내용만 암기해두시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해당 부분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정보처리기능사 수준 이상의 이해도가 필요한 부분이라, 상당한 추가자료 없이는 명확한 이해가 어렵습니다.

 

말씀하신 부분에 대한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속의 이해]

<학생> 테이블에서 이름, 학년, 학과가 각각 학번 속성에 함수적 종속적이다는 말은 학번이 결정되면 이름, 학년, 학과는 항상 학번에 의존적이라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학번이 400인 튜플의 이름, 학년, 학과 속성의 값은 항상 ‘이순신’, 4, ‘컴퓨터공학과’이지 다른 값이 올 수 없습니다. 만약 <학생> 테이블에 학번이 400이고 나머지 속성의 값이 각각 ‘이순신’, 4, ‘수학과’인 튜플이 있다면 이름과 학년은 학번에 종속적이지만 학과는 학번에 대해 항상 같은 값이 따르지 않으므로 학번에 종속적이지 않은 것입니다. 

 

 

[완전/부분 함수적 종속의 이해]

완전 함수적 종속이라는 말은 어떤 속성이 기본키에 대해 완전히 종속적일 때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수강> 테이블은 (학번, 과목번호)가 기본키인데, 성적은 학번과 과목번호가 같을 경우에는 항상 같은 성적이 오므로, 즉 성적은 학번과 과목번호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성적은 기본키(학번, 과목번호)에 완전 함수적 종속이 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학년은 과목번호에 관계없이 학번이 같으면 항상 같은 학년이 오므로, 즉 기본키의 일부인 학번에 의해서 학년이 결정되므로 학년은 부분 함수적 종속이라고 합니다. 

 

 

[이행적 함수적 종속]

A → B이고 B → C일 때 A → C를 만족하는 관계를 이행적 함수적 종속이라고 합니다. 

<주문> 테이블에서 주문번호가 고객번호를 결정하고, 고객번호가 주소를 결정하는 관계가 이에 해당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0-10-05 15:03:03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정규화에 대한 내용은 컴퓨터활용능력 자격 시험에서는 깊게 들어가지 않으므로, 교재에 설명하고 있는 내용만 암기해두시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해당 부분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정보처리기능사 수준 이상의 이해도가 필요한 부분이라, 상당한 추가자료 없이는 명확한 이해가 어렵습니다.

     

    말씀하신 부분에 대한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속의 이해]

    <학생> 테이블에서 이름, 학년, 학과가 각각 학번 속성에 함수적 종속적이다는 말은 학번이 결정되면 이름, 학년, 학과는 항상 학번에 의존적이라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학번이 400인 튜플의 이름, 학년, 학과 속성의 값은 항상 ‘이순신’, 4, ‘컴퓨터공학과’이지 다른 값이 올 수 없습니다. 만약 <학생> 테이블에 학번이 400이고 나머지 속성의 값이 각각 ‘이순신’, 4, ‘수학과’인 튜플이 있다면 이름과 학년은 학번에 종속적이지만 학과는 학번에 대해 항상 같은 값이 따르지 않으므로 학번에 종속적이지 않은 것입니다. 

     

     

    [완전/부분 함수적 종속의 이해]

    완전 함수적 종속이라는 말은 어떤 속성이 기본키에 대해 완전히 종속적일 때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수강> 테이블은 (학번, 과목번호)가 기본키인데, 성적은 학번과 과목번호가 같을 경우에는 항상 같은 성적이 오므로, 즉 성적은 학번과 과목번호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성적은 기본키(학번, 과목번호)에 완전 함수적 종속이 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학년은 과목번호에 관계없이 학번이 같으면 항상 같은 학년이 오므로, 즉 기본키의 일부인 학번에 의해서 학년이 결정되므로 학년은 부분 함수적 종속이라고 합니다. 

     

     

    [이행적 함수적 종속]

    A → B이고 B → C일 때 A → C를 만족하는 관계를 이행적 함수적 종속이라고 합니다. 

    <주문> 테이블에서 주문번호가 고객번호를 결정하고, 고객번호가 주소를 결정하는 관계가 이에 해당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