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이 한개 일 때 배열 수식 이용하는 방법중에
={SUM((조건)*1)}
에서 1은 무엇을 의미하는 건가요??
2. P.23의 실습에서 보면 조건이 한 개일떄 배열의 합계 구하는 법을 보면
=SUM((조건)*(합계를 구할 범위))
조건은 괄호로 묶어주는데 합계를 구할 범위는 왜 괄호로 안 묶어서 작동이 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조건이 1개 일때는 개수를 나타내기 위해 *1 을 해줘야 합니다.
조건의 결과로 나오는 것이 true 나 false 인데 이것을 숫자 1로 변경 하기 위해 *1 을 해주는 것입니다.
조건이 2개 이상일때는 1을 곱하지 않아도 개수를 셀 수 있는 값이 나옵니다.
(조건1)*(조건2) 와 (조건1)*(조건2)*1 은
1 * 1 = 1 1 * 1 * 1 =1
0 * 1 = 0 0 * 1 * 1 = 0
이 됩니다.
그러므로 1 이 있든 없든 같은 결과가 되는 것이죠.
괄호를 묶지 않아도 참일 경우 1 * 합계를 구할 범위가 되므로 결과가 정확하게 나오게 됩니다.
괄호를 하셔도 상관 없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0-02-11 17:31:46
조건이 1개 일때는 개수를 나타내기 위해 *1 을 해줘야 합니다.
조건의 결과로 나오는 것이 true 나 false 인데 이것을 숫자 1로 변경 하기 위해 *1 을 해주는 것입니다.
조건이 2개 이상일때는 1을 곱하지 않아도 개수를 셀 수 있는 값이 나옵니다.
(조건1)*(조건2) 와 (조건1)*(조건2)*1 은
1 * 1 = 1 1 * 1 * 1 =1
0 * 1 = 0 0 * 1 * 1 = 0
이 됩니다.
그러므로 1 이 있든 없든 같은 결과가 되는 것이죠.
괄호를 묶지 않아도 참일 경우 1 * 합계를 구할 범위가 되므로 결과가 정확하게 나오게 됩니다.
괄호를 하셔도 상관 없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