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질문드립니다.
도서
2019 시나공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2급 포함)
페이지
72,73,74,76,77,79
조회수
247
작성일
2019-10-17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요?

 

2.제어판의 개인설정에서 화면보호기에서 전원 관리는 화면 보호기 화면 중에서 전원관리 측면을 담당하는 건가요? 버닝을 방지하는 것을 넘어서?

 

3.개인 설정에서 바탕화면 아이콘 변경은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만 변경이 가능하고 바탕화면에 없으면 변경 시킬 수 없나요?

 

4.개인 설정의 디스플레이에서 해상도 방향을 설정한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또 장치드라이버는 하드웨어아닌가요? 이 설정 변경으로 어떻게 변경이 되는건가요?

 

5.복수 모니터에서 개별 그래픽 ㅇ댑터나 단일 어댑터에연결한다는 것이 이해가 잘 되지않습니다. 어댑터가 무슨 역할을 하는건가요?

 

6.도메인 및 작업 그룹 설정이라는 것에서 도메인이란 무엇인가요?

 

7.시스템 속성의 고급탭에서 성능에서 프로그램 간의 프로세스 라는 대목의 프로세서가 뭔지 잘 모르겠고 어떤 기능을 지워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또 메모리의 분배 방법에서 어떤 메모리를 어떻게 분배한다는 것인지.

또 가상메모리란 무엇인지.

마지막으로 운영체제가 2개이상 깔려있다는건 윈도우와리눅스 두가지 모두깔려있는 그런 형태인건가요?

 

친절한 답변 항상 감사합니다.

 

 

답변
2019-10-18 21:53:17

안녕하세요.

 

1.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요?

->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 간에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규약입니다. TCP/IP, UDP 등이 있습니다.

 

 

2.제어판의 개인설정에서 화면보호기에서 전원 관리는 화면 보호기 화면 중에서 전원관리 측면을 담당하는 건가요? 버닝을 방지하는 것을 넘어서?

-> 화면 보호기는 모니터 화면에 버닝 현상때문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요.
현재는 에너지 절약을 위해 전원 관리를 함께 담당할 수 있습니다.

 

3.개인 설정에서 바탕화면 아이콘 변경은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만 변경이 가능하고 바탕화면에 없으면 변경 시킬 수 없나요?

->
바탕화면 아이콘 변경 메뉴이므로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만 변경합니다.

 

4.개인 설정의 디스플레이에서 해상도 방향을 설정한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또 장치드라이버는 하드웨어아닌가요? 이 설정 변경으로 어떻게 변경이 되는건가요?

-> 해상도 방향이 아니라 해성도 및 방향입니다. 모니터의 해상도를 조정할 수 있고, 모니터의 방향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장치 드라이버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보통은 플러그 앤 플레이로 자동 설치되지만, 실제로는 프린터 등과 같은 장치를 컴퓨터에 연결할 때 운영체제에 장치와 관련된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합니다.
장치 드라이버의 자동 다운로드 여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자동 다운로드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장치에 대한 장치 드라이버를 따로 설치해 주셔야 합니다.

 

5.복수 모니터에서 개별 그래픽 ㅇ댑터나 단일 어댑터에연결한다는 것이 이해가 잘 되지않습니다. 어댑터가 무슨 역할을 하는건가요?

-> 그래픽 어댑터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그래픽 카드의 주요 기능은 모니터 화면에 그래픽을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복수 모니터를 각각의 어댑터에 연결하거나
복수 출력이 가능한 하나의 어댑터에 연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6.도메인 및 작업 그룹 설정이라는 것에서 도메인이란 무엇인가요?

-> 컴퓨터의 소속 그룹을 작업그룹과 도메인 중에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www.gilbut.co.kr 등과 같은 인터넷 주소입니다. 인터넷 주소를 통해 소속 그룹으로 포함시키는 것입니다.

 

 

7.시스템 속성의 고급탭에서 성능에서 프로그램 간의 프로세스 라는 대목의 프로세서가 뭔지 잘 모르겠고 어떤 기능을 지워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또 메모리의 분배 방법에서 어떤 메모리를 어떻게 분배한다는 것인지.

-> 프로그램이 CPU와 메모리 할당을 받아 실행되면 프로세스라고 부릅니다.
실행중인 프로그램 간의 (프로세서 CPU와 메모리)의 분배 방법을 지정한다는 것입니다. 컴퓨터가 효율적으로 동작하려면 프로세서(CPU)와 메모리(주기억장치)의 자원 분배가 적절히 이루어 져야 합니다.

지워나간다는 부분은 교재에서 찾지 못했습니다.
구체적인 질문 부탁드립니다.

 

또 가상메모리란 무엇인지.
-> 하드 디스크(보조 기억장치)의 일부를 메모리(주기억장치) 처럼 사용하는 기억장치를 가상 메모리라고 합니다. 메모리(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실행해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운영체제가 2개이상 깔려있다는건 윈도우와리눅스 두가지 모두깔려있는 그런 형태인건가요?
-> 네, 맞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관리자
    2019-10-18 21:53:17

    안녕하세요.

     

    1.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요?

    ->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 간에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규약입니다. TCP/IP, UDP 등이 있습니다.

     

     

    2.제어판의 개인설정에서 화면보호기에서 전원 관리는 화면 보호기 화면 중에서 전원관리 측면을 담당하는 건가요? 버닝을 방지하는 것을 넘어서?

    -> 화면 보호기는 모니터 화면에 버닝 현상때문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요.
    현재는 에너지 절약을 위해 전원 관리를 함께 담당할 수 있습니다.

     

    3.개인 설정에서 바탕화면 아이콘 변경은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만 변경이 가능하고 바탕화면에 없으면 변경 시킬 수 없나요?

    ->
    바탕화면 아이콘 변경 메뉴이므로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만 변경합니다.

     

    4.개인 설정의 디스플레이에서 해상도 방향을 설정한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또 장치드라이버는 하드웨어아닌가요? 이 설정 변경으로 어떻게 변경이 되는건가요?

    -> 해상도 방향이 아니라 해성도 및 방향입니다. 모니터의 해상도를 조정할 수 있고, 모니터의 방향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장치 드라이버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보통은 플러그 앤 플레이로 자동 설치되지만, 실제로는 프린터 등과 같은 장치를 컴퓨터에 연결할 때 운영체제에 장치와 관련된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합니다.
    장치 드라이버의 자동 다운로드 여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자동 다운로드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장치에 대한 장치 드라이버를 따로 설치해 주셔야 합니다.

     

    5.복수 모니터에서 개별 그래픽 ㅇ댑터나 단일 어댑터에연결한다는 것이 이해가 잘 되지않습니다. 어댑터가 무슨 역할을 하는건가요?

    -> 그래픽 어댑터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그래픽 카드의 주요 기능은 모니터 화면에 그래픽을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복수 모니터를 각각의 어댑터에 연결하거나
    복수 출력이 가능한 하나의 어댑터에 연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6.도메인 및 작업 그룹 설정이라는 것에서 도메인이란 무엇인가요?

    -> 컴퓨터의 소속 그룹을 작업그룹과 도메인 중에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www.gilbut.co.kr 등과 같은 인터넷 주소입니다. 인터넷 주소를 통해 소속 그룹으로 포함시키는 것입니다.

     

     

    7.시스템 속성의 고급탭에서 성능에서 프로그램 간의 프로세스 라는 대목의 프로세서가 뭔지 잘 모르겠고 어떤 기능을 지워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또 메모리의 분배 방법에서 어떤 메모리를 어떻게 분배한다는 것인지.

    -> 프로그램이 CPU와 메모리 할당을 받아 실행되면 프로세스라고 부릅니다.
    실행중인 프로그램 간의 (프로세서 CPU와 메모리)의 분배 방법을 지정한다는 것입니다. 컴퓨터가 효율적으로 동작하려면 프로세서(CPU)와 메모리(주기억장치)의 자원 분배가 적절히 이루어 져야 합니다.

    지워나간다는 부분은 교재에서 찾지 못했습니다.
    구체적인 질문 부탁드립니다.

     

    또 가상메모리란 무엇인지.
    -> 하드 디스크(보조 기억장치)의 일부를 메모리(주기억장치) 처럼 사용하는 기억장치를 가상 메모리라고 합니다. 메모리(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실행해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운영체제가 2개이상 깔려있다는건 윈도우와리눅스 두가지 모두깔려있는 그런 형태인건가요?
    -> 네, 맞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