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성능 = (오류가 뜨는 것과는 상관없이) 속도
라고 알고 있으면 되는 것인지 여쭤봅니다
3번의 보기 2번이 틀린 선지로서 정답인데,
정규화의 목적 : 중복을 배제하여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
'이는 정규화를 함으로써 데이터를 딱 받아봤을 때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것이지,
컴퓨터의 성능(빠르기)에는 영향이 없다'
라며 출제자는 문제를 낸 것일까요
하지만 저는 애초에 삽입, 삭제, 갱신에서 이상이 나오는 것 자체가 컴퓨터에서 일어나는 일이라고
생각해서 정규화 수준을 더 높게 하면 컴퓨터의 성능이 더 향상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규화는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하여 테이블을 여러 개로 나누는 것입니다.
그러나 나누어 놓은 테이블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면 로딩에 따른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릴레이션을 항상 최상위 수준의 정규 형으로 정규화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컴퓨터의 성능을 속도라고만 보기는 어렵지만, 속도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적당한 선에서 정규화를 멈춰 합의점을 찾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관리자2019-01-15 23:34:09
안녕하세요.
정규화는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하여 테이블을 여러 개로 나누는 것입니다.
그러나 나누어 놓은 테이블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면 로딩에 따른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릴레이션을 항상 최상위 수준의 정규 형으로 정규화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컴퓨터의 성능을 속도라고만 보기는 어렵지만, 속도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적당한 선에서 정규화를 멈춰 합의점을 찾는 것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