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Q1. 핵심102에서 문제3에서 3번에 MOD(-5,3)의 값이 1이라는데 -5를 3으로 나눈게 어떻게 1인건가요?
음수의 나머지(5/3, -5/3)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는 것은 쉽게 말하면 … 똑같이 분배해 주면 몇 개씩 주고(몫) 남는 게(나머지) 몇 개냐는 의미입니다. 즉 5개를 3
명에게 1개씩 주고 몇 개가 남느냐는 의미입니다. 2개가 남겠죠. 그렇다면 -5/3은? 음수값은 분배해 줄 양이 받아야 할 양이겠죠. 즉 5개
를 채우려면 3명에게서 똑같이 몇개씩 받으면(몫) 더 받은(나머지)것은 몇 개냐? 정도로 말할 수 있겠죠. 즉 2개씩 받으면 6개가 되므로 1개가 남죠? 즉 2개씩 받았으므로 몫은 -2, 1개가 남았으므로 나머지는 1이 됩니다.
Q2. 80쪽에서 핵심 103에 대한 문제1의 3번에서 =NOT(0=0)→false 라고되어있는데 무슨의미인가요??
->NOT(인수) 함수는 인수의 반대 논리값을 표시하는 함수로, 0=0은 0과 0이 같다는 의미로, 맞는 조건이므로 true, not 함수를 만나 반대 논리값을 표시하면 결과는 false가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8-06 09:28:29
안녕하세요.
Q1. 핵심102에서 문제3에서 3번에 MOD(-5,3)의 값이 1이라는데 -5를 3으로 나눈게 어떻게 1인건가요?
음수의 나머지(5/3, -5/3)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는 것은 쉽게 말하면 … 똑같이 분배해 주면 몇 개씩 주고(몫) 남는 게(나머지) 몇 개냐는 의미입니다. 즉 5개를 3
명에게 1개씩 주고 몇 개가 남느냐는 의미입니다. 2개가 남겠죠. 그렇다면 -5/3은? 음수값은 분배해 줄 양이 받아야 할 양이겠죠. 즉 5개
를 채우려면 3명에게서 똑같이 몇개씩 받으면(몫) 더 받은(나머지)것은 몇 개냐? 정도로 말할 수 있겠죠. 즉 2개씩 받으면 6개가 되므로 1개가 남죠? 즉 2개씩 받았으므로 몫은 -2, 1개가 남았으므로 나머지는 1이 됩니다.Q2. 80쪽에서 핵심 103에 대한 문제1의 3번에서 =NOT(0=0)→false 라고되어있는데 무슨의미인가요??
->NOT(인수) 함수는 인수의 반대 논리값을 표시하는 함수로, 0=0은 0과 0이 같다는 의미로, 맞는 조건이므로 true, not 함수를 만나 반대 논리값을 표시하면 결과는 false가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