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재에 있는 설명이 이해가 안되신다고 하였는데, 어느 부분이 어떻게 이해가 안되는지 자세히 질문해 주세요. 그래야만 이해가 안되는 부분을 집중해서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막연히 이해가 안된다고 하시면 교재에 있는 설명을 옮겨 적는 것 밖에는 되지 않습니다.
교재에 설명이 없는 1, 3, 4번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 <수강> 테이블의 '수강학생' 필드는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를 참조한다고 했습니다. 이럴 경우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에는 반드시 <수강> 테이블의 수강학생 필드에 있는 데이터만을 입력해야 하지만 <학생> 테이블에는 <수강> 테이블에 상관 없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3 : <수강> 테이블에서 첫번째 레코드의 '수강학생' 필드값을 123에서 357로 변경했다고 했는데,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에 357이 있으므로 가능합니다.
4 :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 357에 해당하는 레코드에서 '성명' 필드의 '박동식'을 '이황'으로 변경한다고 했는데, 가능합니다. <학생> 테이블을 참조하는 <수강> 테이블에는 '성명' 필드가 없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7-09 09:25:35
안녕하세요.
교재에 있는 설명이 이해가 안되신다고 하였는데, 어느 부분이 어떻게 이해가 안되는지 자세히 질문해 주세요. 그래야만 이해가 안되는 부분을 집중해서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막연히 이해가 안된다고 하시면 교재에 있는 설명을 옮겨 적는 것 밖에는 되지 않습니다.
교재에 설명이 없는 1, 3, 4번을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 <수강> 테이블의 '수강학생' 필드는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를 참조한다고 했습니다. 이럴 경우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에는 반드시 <수강> 테이블의 수강학생 필드에 있는 데이터만을 입력해야 하지만 <학생> 테이블에는 <수강> 테이블에 상관 없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3 : <수강> 테이블에서 첫번째 레코드의 '수강학생' 필드값을 123에서 357로 변경했다고 했는데,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에 357이 있으므로 가능합니다.
4 :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 357에 해당하는 레코드에서 '성명' 필드의 '박동식'을 '이황'으로 변경한다고 했는데, 가능합니다. <학생> 테이블을 참조하는 <수강> 테이블에는 '성명' 필드가 없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