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5p 33번
전문가의 조언 ③
A2: '한국 대한민국'
A3: '분기 수익'
A4: '수익'
MID(A2,SEARCHB(A4,A3),2)
SEARCHB(A4,A3)의 값이 4이므로
MID(A2,4,2)='한국 대한민국'
답: 한민
제 수식중에 어디가 틀렸는지 궁금합니다
287p 36번
표준편차가 뭔가요?
288p 37번
전문가의 조언
방법2: {SUM(IF(조건1,1))}
여기에서 1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289p, 41번
모듈는 실재 작업중에 컴퓨터 모니터로는 어떻게 보여지나요?
293p, 54번
문제에 나온 기호('~요약'의 ~에 해당하는 것)을 뭐라고 읽어야 하나요?
그리고 이 기호의 의미는 대체 뭔가요?
315p, 55번
모달 폼, 데이터시트는 모니터에서 어떤 식으로 출력되나요? 예시를 보고 싶어요
315p, 57번
InStr(3, "I Have A Dream", "A", 1)
3이 시작위치를 의미하면 "H"이고, 텍스트 "A"가 처음 나오는 위치를 "H"부터 검색하여 위치를 반환하면 5가 맞지 않나요? InStr함수는 공백을 포함하지 않는 건가요? 포함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285p 33번
전문가의 조언 ③
A2: '한국 대한민국'
A3: '분기 수익'
A4: '수익'
MID(A2,SEARCHB(A4,A3),2)
SEARCHB(A4,A3)의 값이 4이므로
MID(A2,4,2)='한국 대한민국'
답: 한민
제 수식중에 어디가 틀렸는지 궁금합니다
-> SEARCH는 각 문자를 항상 한 글자로 계산하고, SEARCHB는 숫자와 영어, 공백은 한 글자, 한글과 특수문자 등은 두 글자로 계산합니다. SEARCHB 함수를 사용했으므로 한글을 두글자로 계산하면 SEARCHB(A4,A3)의 결과는 4가 아니라 6입니다.
287p 36번
표준편차가 뭔가요?
-> 자료가 얼마나 평균 주변에 모여있는지 혹은 흩어져 있는지(산포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288p 37번
전문가의 조언
방법2: {SUM(IF(조건1,1))}
여기에서 1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 조건이 참일 경우 1을 넣은 다음 이것들의 합계(SUM)를 구해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289p, 41번
모듈는 실재 작업중에 컴퓨터 모니터로는 어떻게 보여지나요?
-> 질문 의도를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293p, 54번
문제에 나온 기호('~요약'의 ~에 해당하는 것)을 뭐라고 읽어야 하나요?
그리고 이 기호의 의미는 대체 뭔가요?
-> 시그마 기호인데, 액세스에서는 요약을 표시할때 사용하므로 요약으로 알아두시면 됩니다.
315p, 55번
모달 폼, 데이터시트는 모니터에서 어떤 식으로 출력되나요? 예시를 보고 싶어요
-> 모달 폼은 일반 폼과 동일하게 표시되는데, 단지 다른 폼이나 개체를 선택할 수 없다는 것만 다릅니다.
데이터시트는 아래와 같이 테이블이나 쿼리를 실행했을 때처럼 표시됩니다.
315p, 57번
InStr(3, "I Have A Dream", "A", 1)
3이 시작위치를 의미하면 "H"이고, 텍스트 "A"가 처음 나오는 위치를 "H"부터 검색하여 위치를 반환하면 5가 맞지 않나요? InStr함수는 공백을 포함하지 않는 건가요? 포함하는 건가요?
-> INSTR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즉 3번째 위치부터 A를 찾지만 위치를 표시할 때는 첫번째 데이터부터 그 위치를 표시합니다. 즉 "I Have A Dream"에서 대소문자 구분없이 A를 찾으면 "I Ha"에서 마지막에 있는 a를 찾는 것이고, 위치는 맨처음부터 그 위치를 표시하므로 4가 되는 것입니다. 공백도 하나의 문자로 인식합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
*2017-11-27 11:08:54
안녕하세요.
285p 33번
전문가의 조언 ③
A2: '한국 대한민국'
A3: '분기 수익'
A4: '수익'
MID(A2,SEARCHB(A4,A3),2)
SEARCHB(A4,A3)의 값이 4이므로
MID(A2,4,2)='한국 대한민국'
답: 한민
제 수식중에 어디가 틀렸는지 궁금합니다-> SEARCH는 각 문자를 항상 한 글자로 계산하고, SEARCHB는 숫자와 영어, 공백은 한 글자, 한글과 특수문자 등은 두 글자로 계산합니다. SEARCHB 함수를 사용했으므로 한글을 두글자로 계산하면 SEARCHB(A4,A3)의 결과는 4가 아니라 6입니다.
287p 36번
표준편차가 뭔가요?-> 자료가 얼마나 평균 주변에 모여있는지 혹은 흩어져 있는지(산포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288p 37번
전문가의 조언
방법2: {SUM(IF(조건1,1))}
여기에서 1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조건이 참일 경우 1을 넣은 다음 이것들의 합계(SUM)를 구해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289p, 41번
모듈는 실재 작업중에 컴퓨터 모니터로는 어떻게 보여지나요?-> 질문 의도를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293p, 54번
문제에 나온 기호('~요약'의 ~에 해당하는 것)을 뭐라고 읽어야 하나요?
그리고 이 기호의 의미는 대체 뭔가요?-> 시그마 기호인데, 액세스에서는 요약을 표시할때 사용하므로 요약으로 알아두시면 됩니다.
315p, 55번
모달 폼, 데이터시트는 모니터에서 어떤 식으로 출력되나요? 예시를 보고 싶어요-> 모달 폼은 일반 폼과 동일하게 표시되는데, 단지 다른 폼이나 개체를 선택할 수 없다는 것만 다릅니다.
데이터시트는 아래와 같이 테이블이나 쿼리를 실행했을 때처럼 표시됩니다.
315p, 57번
InStr(3, "I Have A Dream", "A", 1)
3이 시작위치를 의미하면 "H"이고, 텍스트 "A"가 처음 나오는 위치를 "H"부터 검색하여 위치를 반환하면 5가 맞지 않나요? InStr함수는 공백을 포함하지 않는 건가요? 포함하는 건가요?-> INSTR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즉 3번째 위치부터 A를 찾지만 위치를 표시할 때는 첫번째 데이터부터 그 위치를 표시합니다. 즉 "I Have A Dream"에서 대소문자 구분없이 A를 찾으면 "I Ha"에서 마지막에 있는 a를 찾는 것이고, 위치는 맨처음부터 그 위치를 표시하므로 4가 되는 것입니다. 공백도 하나의 문자로 인식합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