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번 에
보기 3번 =countif(a2,"*철*") 이 정답인데
4번이 왜 아닌건가요? =countif(a2:a7,"*철*")이어야 범위가 있어서 골라지는거 아닌가요?ㅠㅠ
이해가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단순히 조건에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무넺라면 4번이 맞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의 경우는 조건부 서식의 조건으로 countif 함수를 사용한 것으로 특수한 경우라고 보시면 됩니다. 조건부 서식에서 조건으로 지정할 때는 조건의 결과가 참 또는 거짓으로 나오게 지정해야 합니다. =countif(a2:a7,"*철*")로 지정하면 a2:a7 영역에서 철자를 포함한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지만 =countif(a2,"*철*")로 지정하면 a2에 철자가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를 출력합니다. 또한 =countif(a2,"*철*")로 조건을 지정하면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이 변경되면서 각 셀을 비교합니다.
=countif(a2,"*철*")
=countif(a3,"*철*")
=countif(a4,"*철*")
=countif(a5,"*철*")
...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7-10 10:37:02
안녕하세요.
단순히 조건에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무넺라면 4번이 맞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의 경우는 조건부 서식의 조건으로 countif 함수를 사용한 것으로 특수한 경우라고 보시면 됩니다. 조건부 서식에서 조건으로 지정할 때는 조건의 결과가 참 또는 거짓으로 나오게 지정해야 합니다. =countif(a2:a7,"*철*")로 지정하면 a2:a7 영역에서 철자를 포함한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지만 =countif(a2,"*철*")로 지정하면 a2에 철자가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를 출력합니다. 또한 =countif(a2,"*철*")로 조건을 지정하면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이 변경되면서 각 셀을 비교합니다.
=countif(a2,"*철*")
=countif(a3,"*철*")
=countif(a4,"*철*")
=countif(a5,"*철*")
...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