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p 문제 9번>
서식코드 입력데이터 표시
# ???/??? 3.75 3 3/4
위 서식코드에 대해서 잘 모르겠는데
제가 생각한게 맞는지, 만약 틀리다면 틀린부분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선 #과 ???/???가 3.75에 대해 각각 적용되었다고 생각하고
#의 경우 정수부분만 즉, 소수점 부분을 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3.75에서 3만 표시된것이고
???/???와 #사이에 띄어쓰기 한칸이 있고, 제 생각으로는 3.75를 분수로 표현하지 못하고 1이하 즉, 0.75만 분수로 적용되는 것 같아서 0.75의 분수꼴인 3/4가 가능하고, 또 ???/???에 적용해야하니까 (?는 유효하지않은 자릿수에 0대신 공백을 넣는다) 두칸 띄어쓰기하고 또 4뒤에 두칸띄어쓰기해서 "3 3/4 "가 맞는건가요?
<49p 문제 15번>
셀에 입력된 데이터에 사용자 지정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식을 적용하였을 때 그 결과로 옳은 것은?
② 0.57 → #.# → 0.6
④ 100 → #,###;@"점" → 100점
40p 숫자서식코드에서 '#'에 대한 내용을 보면 '유효한 자릿수만 표시하고, 유효하지 않은 0은 표시하지 않는다.'
라고 적혀있는데 여기서 '유효하지 않은 0'이 무슨의미인가요?
위 2번 선지에서 해설을 보면 '.6'이 맞다고하고 4번 선지에서는 옳게 고치면 100이 맞다고 하더군요
기준이 만약에 수학에서의 유효숫자라고 한다면 0.57에서의 0은 당연히 유효숫자가 아니기에 .6이 맞지만
100에서의 0은 유효숫자가 아니기때문에 "1 " 이렇게 표시해야하는데 그게 아니라서 그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유효숫자 관련내용(http://ywpop.tistory.com/3212)
<참조와 조건부 서식의 $ 이해 >
참조의 개념을 배워서 조건부서식에서 사용했던 $의 사용을 어느정도 이해를 했는데
조건부서식에서의 '수식을 사용하여 서식을 지정할 셀 결정' 에서 p45에 나온 수식처럼
=$D2>=140이라는 것이 D는 고정되어있으니까 D2>=140, D3>=140, D4>=140 이렇게 해서 140이상인 셀들만 적용하는 것은 이해합니다 그런데 해당 셀이 포함된 행전체에 적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각 해당되는 셀 1칸만 적용되어야하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43p 문제 9번>
서식코드 입력데이터 표시
# ???/??? 3.75 3 3/4
위 서식코드에 대해서 잘 모르겠는데
제가 생각한게 맞는지, 만약 틀리다면 틀린부분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선 #과 ???/???가 3.75에 대해 각각 적용되었다고 생각하고
#의 경우 정수부분만 즉, 소수점 부분을 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3.75에서 3만 표시된것이고
???/???와 #사이에 띄어쓰기 한칸이 있고, 제 생각으로는 3.75를 분수로 표현하지 못하고 1이하 즉, 0.75만 분수로 적용되는 것 같아서 0.75의 분수꼴인 3/4가 가능하고, 또 ???/???에 적용해야하니까 (?는 유효하지않은 자릿수에 0대신 공백을 넣는다) 두칸 띄어쓰기하고 또 4뒤에 두칸띄어쓰기해서 "3 3/4 "가 맞는건가요?
-> 네 맞습니다.
<49p 문제 15번>
셀에 입력된 데이터에 사용자 지정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식을 적용하였을 때 그 결과로 옳은 것은?
② 0.57 → #.# → 0.6
④ 100 → #,###;@"점" → 100점
40p 숫자서식코드에서 '#'에 대한 내용을 보면 '유효한 자릿수만 표시하고, 유효하지 않은 0은 표시하지 않는다.'
라고 적혀있는데 여기서 '유효하지 않은 0'이 무슨의미인가요?
-> 05 005 5.0 5.00
위에 숫자에서 0은 있든 없든 의미하는 값은 모두 5입니다. 위와 같이 0이 있든, 없든 의미하는 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 0을 유효하지 않은 0이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위 2번 선지에서 해설을 보면 '.6'이 맞다고하고 4번 선지에서는 옳게 고치면 100이 맞다고 하더군요
기준이 만약에 수학에서의 유효숫자라고 한다면 0.57에서의 0은 당연히 유효숫자가 아니기에 .6이 맞지만
100에서의 0은 유효숫자가 아니기때문에 "1 " 이렇게 표시해야하는데 그게 아니라서 그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 0.6 이든, .6 이든 의미하는 값은 0.6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100 에서 0을 생략하면 1을 의미하므로, 이렇게는 표현할 수 없습니다.
<참조와 조건부 서식의 $ 이해 >
참조의 개념을 배워서 조건부서식에서 사용했던 $의 사용을 어느정도 이해를 했는데
조건부서식에서의 '수식을 사용하여 서식을 지정할 셀 결정' 에서 p45에 나온 수식처럼
=$D2>=140이라는 것이 D는 고정되어있으니까 D2>=140, D3>=140, D4>=140 이렇게 해서 140이상인 셀들만 적용하는 것은 이해합니다 그런데 해당 셀이 포함된 행전체에 적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각 해당되는 셀 1칸만 적용되어야하는거 아닌가요?
-> 이것은 암기해 두세요. 조건을 만족하는 행 전체에 서식을 지정할 떄는 열 문자($D2) 앞에 $를 붙이고, 조건을 만족하는 열 전체에 서식을 지정할 때는 행 번호(D$2) 앞에 $를 붙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6-09 09:27:27
안녕하세요.
<43p 문제 9번>
서식코드 입력데이터 표시
# ???/??? 3.75 3 3/4
위 서식코드에 대해서 잘 모르겠는데
제가 생각한게 맞는지, 만약 틀리다면 틀린부분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선 #과 ???/???가 3.75에 대해 각각 적용되었다고 생각하고
#의 경우 정수부분만 즉, 소수점 부분을 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3.75에서 3만 표시된것이고
???/???와 #사이에 띄어쓰기 한칸이 있고, 제 생각으로는 3.75를 분수로 표현하지 못하고 1이하 즉, 0.75만 분수로 적용되는 것 같아서 0.75의 분수꼴인 3/4가 가능하고, 또 ???/???에 적용해야하니까 (?는 유효하지않은 자릿수에 0대신 공백을 넣는다) 두칸 띄어쓰기하고 또 4뒤에 두칸띄어쓰기해서 "3 3/4 "가 맞는건가요?
-> 네 맞습니다.
<49p 문제 15번>
셀에 입력된 데이터에 사용자 지정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식을 적용하였을 때 그 결과로 옳은 것은?
② 0.57 → #.# → 0.6
④ 100 → #,###;@"점" → 100점
40p 숫자서식코드에서 '#'에 대한 내용을 보면 '유효한 자릿수만 표시하고, 유효하지 않은 0은 표시하지 않는다.'
라고 적혀있는데 여기서 '유효하지 않은 0'이 무슨의미인가요?
-> 05 005 5.0 5.00
위에 숫자에서 0은 있든 없든 의미하는 값은 모두 5입니다. 위와 같이 0이 있든, 없든 의미하는 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 0을 유효하지 않은 0이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위 2번 선지에서 해설을 보면 '.6'이 맞다고하고 4번 선지에서는 옳게 고치면 100이 맞다고 하더군요
기준이 만약에 수학에서의 유효숫자라고 한다면 0.57에서의 0은 당연히 유효숫자가 아니기에 .6이 맞지만
100에서의 0은 유효숫자가 아니기때문에 "1 " 이렇게 표시해야하는데 그게 아니라서 그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 0.6 이든, .6 이든 의미하는 값은 0.6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100 에서 0을 생략하면 1을 의미하므로, 이렇게는 표현할 수 없습니다.
<참조와 조건부 서식의 $ 이해 >
참조의 개념을 배워서 조건부서식에서 사용했던 $의 사용을 어느정도 이해를 했는데
조건부서식에서의 '수식을 사용하여 서식을 지정할 셀 결정' 에서 p45에 나온 수식처럼
=$D2>=140이라는 것이 D는 고정되어있으니까 D2>=140, D3>=140, D4>=140 이렇게 해서 140이상인 셀들만 적용하는 것은 이해합니다 그런데 해당 셀이 포함된 행전체에 적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각 해당되는 셀 1칸만 적용되어야하는거 아닌가요?
-> 이것은 암기해 두세요. 조건을 만족하는 행 전체에 서식을 지정할 떄는 열 문자($D2) 앞에 $를 붙이고, 조건을 만족하는 열 전체에 서식을 지정할 때는 행 번호(D$2) 앞에 $를 붙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