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 : =MOD(10,3)+ROUND(4.456,0)
MOD는 결과값이 1이 맞고요. ROUND 함수의 결과값은 4입니다. 반올림은 해당 값이 5 이상일때만 합니다. 소수점 첫째자리의 값 4는 5보다 작으므로 반올림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ROUND 함수의 결과값은 4가 되므로 1+4=5가 되는 것입니다.
2. =ROUNDUP(4.35,0)+IF(NOT(0),1,0)
ROUDNUP 함수는 지정한 자릿수에서 무조건 자리올림을 하는 것으로, 반올림 자릿수가 0이므로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올림하여 정수로 표시하면 결과값은 5입니다.
NOT(0) : 엑셀 프로그램에서는 0은 FALSE(거짓), 1은 TRUE(참)으로 인식을 합니다. NOT(인수) 함수는 인수의 반대 논리값을 표시하는 함수로, NOT(0)에서 0은 거짓으로 인식하고, 이것의 반대 논리값을 표시하면 참(1)이 됩니다.
IF( NOT(0) ,1,0) :IF(조건, 인수1, 인수2) 함수는 조건이 참이면 인수1, 거짓이면 인수2를 표시하는 함수로, NOT(0) 함수의 결과값이 참이므로 1을 표시합니다.
그러므로 1+5=6이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5-19 09:17:31
안녕하세요.
1 : =MOD(10,3)+ROUND(4.456,0)
MOD는 결과값이 1이 맞고요. ROUND 함수의 결과값은 4입니다. 반올림은 해당 값이 5 이상일때만 합니다. 소수점 첫째자리의 값 4는 5보다 작으므로 반올림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ROUND 함수의 결과값은 4가 되므로 1+4=5가 되는 것입니다.
2. =ROUNDUP(4.35,0)+IF(NOT(0),1,0)
ROUDNUP 함수는 지정한 자릿수에서 무조건 자리올림을 하는 것으로, 반올림 자릿수가 0이므로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올림하여 정수로 표시하면 결과값은 5입니다.
NOT(0) : 엑셀 프로그램에서는 0은 FALSE(거짓), 1은 TRUE(참)으로 인식을 합니다. NOT(인수) 함수는 인수의 반대 논리값을 표시하는 함수로, NOT(0)에서 0은 거짓으로 인식하고, 이것의 반대 논리값을 표시하면 참(1)이 됩니다.
IF( NOT(0) ,1,0) :IF(조건, 인수1, 인수2) 함수는 조건이 참이면 인수1, 거짓이면 인수2를 표시하는 함수로, NOT(0) 함수의 결과값이 참이므로 1을 표시합니다.
그러므로 1+5=6이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