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급해요 ㅠ
도서
2017 시나공 총정리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페이지
80
조회수
376
작성일
2016-09-29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

Days360(2006-5-1,2006-5-8)=-7이어야 하는 이유가 앞의 날짜에서 뒤의 날짜를 빼는 개념인가요

2

substitute(텍스트, 인수1, 인수2,2)에서 끝의 2는 뭔 의미인가요?

3

p.95 130-02문제

행입력셀, 열입력셀 구분

밑에 설명 보면 변화되는 값은 성유나의 성적이고, 성유나 성적의 변경 값이 한 열(A)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데이터표 대화상자의 열입력셀에 성유나의 성적이 있는 B4셀을 지정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여기서 '한 열'이 말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잘 모르겠네요. 성유나 성적과 평균이 같은 열에 있어서 열입력셀로 해야되는것인가요?

4

p95 129-02문제

4번보기에서 목표값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의 셀 주소를 입력할 수 없다.
수식 셀이 참조하는 값은 결국 '목표값'='결과값' = '찾는 값'이 되어야 한다 고 이해했는데 맞나요?

5.

p.95 01 문제

목표값찾기..의 계산식은 어디서 작성하나요? 참조하는 셀에 수식이 들어있는 거죠?

6.

p.84

03번 문제 - sum(if(조건, 합계를 구할 범위))인데 뒤에 0과 1이 있는데, 0이 오면 조건에 맞는 값만 출력하는 것이고 1이 오면 같거나 작은 가까운 값을 출력하는 것입니까?

그리고 if함수는 if(조건식,'참일경우출력할값','거짓일경우출력할값')으로 알고 있습니다. sum안에 들어오는 경우만 이런 예외가 적용되는 것입니까?

7.

p.83

배열상수가 셀 안에 들어가는 숫자들을 말하는 건가요..? 설명만 들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배열수식은 숫자를 이용한 문자식..?

왜 ctrl+shift+Enter를 하는 거죠 중괄호 입력하려고? 중괄호는 왜 입력하는지..

8.

p.81

MATCH(기준값,범위,옵션)함수

106-01번 문제에서

셀의 값과 동일한 값을 찾은 후 '상대 위치'를 표시하면 결과는 2입니다.. 라고 하는데 상대위치라는 개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 셀을 포함해서 몇행몇열떨어져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입니까? 그렇다면 대각선 위치에 상대위치라는 것이 들어오면 상대위치를 뭐라고 해야 하는지.

OFFSET(범위,행,열,높이,너비) 함수

여기서 높이, 너비가 범위의 맨 위,왼쪽셀로부터 행,열만큼 떨어진 셀 주소를 기준으로 한 행,열을 말하는 건가요? 왜 높이 너비라고 표현하는지 모르겠습니다.

9.

p.83 배열 수식의 활용

sum(if(조건.1)) if문이 조건,참,거짓 으로 이루어져야 하지 않나요? 왜 두 개만 입력된건지

10

p.115 166의 3번 문제 그룹지정

select 도서.도서명, count(주문.주문수량) AS 총 주문횟수

도서테이블의 도서명 필드와 주문테이블의 주문수량 의 수를 주문횟수로 출력한다? 가 무슨 말인지

11.

p.118

핵심 171번- 01번

문제 위 설명은..

두 개의 테이블을 조인할 경우 첫 번째 테이블의 모든 필드와 두 번째 테이블의 모든 필드가 조인될 경우에도 카테션 곱이 발생한다..

카테션 곱이 발생한 경우 검색되는 레코드의 수는 조인되는 테이블의 레코드를 모두 곱한 개수만큼, 필드는 모두 더한 개수만큼 검색된다.

문제에서는..

첫 번째 테이블의 모든 행들은 두 번째 테이블의 모든 행들과 조인된다.

첫 번째 테이블의 행수를 두 번째 테이블의 행수로 곱한 것만큼의 행을 반환한다.

필드값이랑 레코드랑 다른 건가요? 행수는 뭔가요?

12.

p.120-121 폼의 구성요소 02번문제

2번문제의 보기1- 폼머리글: 폼의 제목과 같은 항목을 지정하는 구역으로 한번만 표시된다. -> 이 부분이 위 설명에는 인쇄미리보기에서 라고 하는데 왜 맞은 거죠?

13

p.134

202

01

openreport가 인쇄 기능이 있는 건가요

02

acNormal이 뭔가요?

그리고 2017 실기책은 언제 나오나요?

답변
2016-10-07 10:53:57

1

Days360(2006-5-1,2006-5-8)=-7이어야 하는 이유가 앞의 날짜에서 뒤의 날짜를 빼는 개념인가요

-> 함수 안에 입력한 날짜가 날짜 데이터가 아닌 텍스트로 인식하였기때문에 -7이 나옵니다. 날짜로 인식하여 정상적으로 값이 나오도록 하려면 날짜를 따옴표로 묶어 Days360("2006-5-1","2006-5-8")과 같이 입력해야 합니다.

2

substitute(텍스트, 인수1, 인수2,2)에서 끝의 2는 뭔 의미인가요?

-> 2번째에 있는 텍스트를 바꾸겠다는 의미입니다. 예를들어 =SUBSTITUTE("111", "1", "2", 2)라면 111 중에서 두번째에 있는 1을 2로 바꾸므로 결과값은 121이 됩니다.

3

p.95 130-02문제

행입력셀, 열입력셀 구분

밑에 설명 보면 변화되는 값은 성유나의 성적이고, 성유나 성적의 변경 값이 한 열(A)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데이터표 대화상자의 열입력셀에 성유나의 성적이 있는 B4셀을 지정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여기서 '한 열'이 말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잘 모르겠네요. 성유나 성적과 평균이 같은 열에 있어서 열입력셀로 해야되는것인가요?

-> 변화되는값, 즉 50, 60, 70, 80, 90 등이 하나의 열에 모두 입력되어 있으므로 열 입력셀에 지정하면 된다는 의미입니다.

4

p95 129-02문제

4번보기에서 목표값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의 셀 주소를 입력할 수 없다.
수식 셀이 참조하는 값은 결국 '목표값'='결과값' = '찾는 값'이 되어야 한다 고 이해했는데 맞나요?

-> 네 맞습니다.

5.

p.95 01 문제

목표값찾기..의 계산식은 어디서 작성하나요? 참조하는 셀에 수식이 들어있는 거죠?

-> 수식 셀에 수식이 들어 있어야 합니다. 이 문제의 경우는 b9 셀에 수식이 입력되어 있습니다.

6.

p.84

03번 문제 - sum(if(조건, 합계를 구할 범위))인데 뒤에 0과 1이 있는데, 0이 오면 조건에 맞는 값만 출력하는 것이고 1이 오면 같거나 작은 가까운 값을 출력하는 것입니까?

-> 맨 뒤에 0 또는 1은 if 함수에서 조건이 거짓일 때 들어가는 값으로, 조건이 거짓일때 1이 들어가면 안되므로 1이 들어간 것은 모두 틀린 보기 입니다.

그리고 if함수는 if(조건식,'참일경우출력할값','거짓일경우출력할값')으로 알고 있습니다. sum안에 들어오는 경우만 이런 예외가 적용되는 것입니까?

-> 아닙니다. 여기서도 동일하게 사용되었습니다.

7.

p.83

배열상수가 셀 안에 들어가는 숫자들을 말하는 건가요..? 설명만 들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 배열 수식에 사용되는 값이라고 보면 됩니다.

배열수식은 숫자를 이용한 문자식..?

-> 아닙니다. 일반적인 수식에서는 인수를 하나를 이용한다면 배열 수식은 인수로 2개 이상의 값을 이용해서 계산한다고 보면 됩니다.

왜 ctrl+shift+Enter를 하는 거죠 중괄호 입력하려고? 중괄호는 왜 입력하는지..

-> 배열 수식임을 표시하기 위해 {}를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8.

p.81

MATCH(기준값,범위,옵션)함수

106-01번 문제에서

셀의 값과 동일한 값을 찾은 후 '상대 위치'를 표시하면 결과는 2입니다.. 라고 하는데 상대위치라는 개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 셀을 포함해서 몇행몇열떨어져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입니까? 그렇다면 대각선 위치에 상대위치라는 것이 들어오면 상대위치를 뭐라고 해야 하는지.

-> 상대위치는 그 범위에서 해당 값이 몇번째에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여기서는 범위 중 두번째에 있다는 의미입니다.

OFFSET(범위,행,열,높이,너비) 함수

여기서 높이, 너비가 범위의 맨 위,왼쪽셀로부터 행,열만큼 떨어진 셀 주소를 기준으로 한 행,열을 말하는 건가요? 왜 높이 너비라고 표현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행과 열만큰 떨어진 셀 주소를 기준으로 한 셀만 표시할 때는 OFFSET(범위,행,열)까지만 지정을 합니다. 하지만 한 셀이 아니라 일정한 범위일때 높이와 너비를 지정합니다. 행이 두개, 열이 두개인 하나의 표를 지정한다면 OFFSET(범위,행,열, 2,2)로 지정합니다.

9.

p.83 배열 수식의 활용

sum(if(조건.1)) if문이 조건,참,거짓 으로 이루어져야 하지 않나요? 왜 두 개만 입력된건지

-> if 문에서 거짓일때 넣는 부분은 생략이 가능합니다.

10

p.115 166의 3번 문제 그룹지정

select 도서.도서명, count(주문.주문수량) AS 총 주문횟수

도서테이블의 도서명 필드와 주문테이블의 주문수량 의 수를 주문횟수로 출력한다? 가 무슨 말인지

->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데, 도서 테이블에 있는 도서명을 표시하고, 주문 테이블의 주문수량의 개수를 구한 후 그 결과값의 필드명을 총주문횟수로 해서 표시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결과값으로는 도서명, 총주문횟수가 표시됩니다.

11.

p.118

핵심 171번- 01번

문제 위 설명은..

두 개의 테이블을 조인할 경우 첫 번째 테이블의 모든 필드와 두 번째 테이블의 모든 필드가 조인될 경우에도 카테션 곱이 발생한다..

카테션 곱이 발생한 경우 검색되는 레코드의 수는 조인되는 테이블의 레코드를 모두 곱한 개수만큼, 필드는 모두 더한 개수만큼 검색된다.

문제에서는..

첫 번째 테이블의 모든 행들은 두 번째 테이블의 모든 행들과 조인된다.

첫 번째 테이블의 행수를 두 번째 테이블의 행수로 곱한 것만큼의 행을 반환한다.

필드값이랑 레코드랑 다른 건가요? 행수는 뭔가요?

-> 필드와 레코드는 다른 것입니다. 예를들어 50명의 성적이 이름, 국어, 영어, 수학으로 하여 표시되어 있다고 한다면 이름, 국어, 영어, 수학 등은 필드에 해당하고 50명의 데이터는 레코드가 됩니다. 즉, 레코드는 한 학생의 성적 홍길동, 100, 100, 100이 하나의 레코드입니다. 행 수는 레코드의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50이겠죠.

12.

p.120-121 폼의 구성요소 02번문제

2번문제의 보기1- 폼머리글: 폼의 제목과 같은 항목을 지정하는 구역으로 한번만 표시된다. -> 이 부분이 위 설명에는 인쇄미리보기에서 라고 하는데 왜 맞은 거죠?

-> 다른 보기를 보면 모두 인쇄(인쇄미리보기) 상태일때는 설명하는 것이라 그렇게 본듯합니다. 세부적으로 본다면 정확히 명시하지 않아 예매하기는 하네요.

13

p.134

202

01

openreport가 인쇄 기능이 있는 건가요

-> 보고서를 불러오는 매크로인데요. 옵션을 인쇄미리보기가 아닌 인쇄로 하면 인쇄됩니다.

02

acNormal이 뭔가요?

-> 기본 값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2017 실기책은 언제 나오나요?

-> 지금쯤이면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을꺼예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6-10-07 10:53:57

    1

    Days360(2006-5-1,2006-5-8)=-7이어야 하는 이유가 앞의 날짜에서 뒤의 날짜를 빼는 개념인가요

    -> 함수 안에 입력한 날짜가 날짜 데이터가 아닌 텍스트로 인식하였기때문에 -7이 나옵니다. 날짜로 인식하여 정상적으로 값이 나오도록 하려면 날짜를 따옴표로 묶어 Days360("2006-5-1","2006-5-8")과 같이 입력해야 합니다.

    2

    substitute(텍스트, 인수1, 인수2,2)에서 끝의 2는 뭔 의미인가요?

    -> 2번째에 있는 텍스트를 바꾸겠다는 의미입니다. 예를들어 =SUBSTITUTE("111", "1", "2", 2)라면 111 중에서 두번째에 있는 1을 2로 바꾸므로 결과값은 121이 됩니다.

    3

    p.95 130-02문제

    행입력셀, 열입력셀 구분

    밑에 설명 보면 변화되는 값은 성유나의 성적이고, 성유나 성적의 변경 값이 한 열(A)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데이터표 대화상자의 열입력셀에 성유나의 성적이 있는 B4셀을 지정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여기서 '한 열'이 말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잘 모르겠네요. 성유나 성적과 평균이 같은 열에 있어서 열입력셀로 해야되는것인가요?

    -> 변화되는값, 즉 50, 60, 70, 80, 90 등이 하나의 열에 모두 입력되어 있으므로 열 입력셀에 지정하면 된다는 의미입니다.

    4

    p95 129-02문제

    4번보기에서 목표값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의 셀 주소를 입력할 수 없다.
    수식 셀이 참조하는 값은 결국 '목표값'='결과값' = '찾는 값'이 되어야 한다 고 이해했는데 맞나요?

    -> 네 맞습니다.

    5.

    p.95 01 문제

    목표값찾기..의 계산식은 어디서 작성하나요? 참조하는 셀에 수식이 들어있는 거죠?

    -> 수식 셀에 수식이 들어 있어야 합니다. 이 문제의 경우는 b9 셀에 수식이 입력되어 있습니다.

    6.

    p.84

    03번 문제 - sum(if(조건, 합계를 구할 범위))인데 뒤에 0과 1이 있는데, 0이 오면 조건에 맞는 값만 출력하는 것이고 1이 오면 같거나 작은 가까운 값을 출력하는 것입니까?

    -> 맨 뒤에 0 또는 1은 if 함수에서 조건이 거짓일 때 들어가는 값으로, 조건이 거짓일때 1이 들어가면 안되므로 1이 들어간 것은 모두 틀린 보기 입니다.

    그리고 if함수는 if(조건식,'참일경우출력할값','거짓일경우출력할값')으로 알고 있습니다. sum안에 들어오는 경우만 이런 예외가 적용되는 것입니까?

    -> 아닙니다. 여기서도 동일하게 사용되었습니다.

    7.

    p.83

    배열상수가 셀 안에 들어가는 숫자들을 말하는 건가요..? 설명만 들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 배열 수식에 사용되는 값이라고 보면 됩니다.

    배열수식은 숫자를 이용한 문자식..?

    -> 아닙니다. 일반적인 수식에서는 인수를 하나를 이용한다면 배열 수식은 인수로 2개 이상의 값을 이용해서 계산한다고 보면 됩니다.

    왜 ctrl+shift+Enter를 하는 거죠 중괄호 입력하려고? 중괄호는 왜 입력하는지..

    -> 배열 수식임을 표시하기 위해 {}를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8.

    p.81

    MATCH(기준값,범위,옵션)함수

    106-01번 문제에서

    셀의 값과 동일한 값을 찾은 후 '상대 위치'를 표시하면 결과는 2입니다.. 라고 하는데 상대위치라는 개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 셀을 포함해서 몇행몇열떨어져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입니까? 그렇다면 대각선 위치에 상대위치라는 것이 들어오면 상대위치를 뭐라고 해야 하는지.

    -> 상대위치는 그 범위에서 해당 값이 몇번째에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여기서는 범위 중 두번째에 있다는 의미입니다.

    OFFSET(범위,행,열,높이,너비) 함수

    여기서 높이, 너비가 범위의 맨 위,왼쪽셀로부터 행,열만큼 떨어진 셀 주소를 기준으로 한 행,열을 말하는 건가요? 왜 높이 너비라고 표현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행과 열만큰 떨어진 셀 주소를 기준으로 한 셀만 표시할 때는 OFFSET(범위,행,열)까지만 지정을 합니다. 하지만 한 셀이 아니라 일정한 범위일때 높이와 너비를 지정합니다. 행이 두개, 열이 두개인 하나의 표를 지정한다면 OFFSET(범위,행,열, 2,2)로 지정합니다.

    9.

    p.83 배열 수식의 활용

    sum(if(조건.1)) if문이 조건,참,거짓 으로 이루어져야 하지 않나요? 왜 두 개만 입력된건지

    -> if 문에서 거짓일때 넣는 부분은 생략이 가능합니다.

    10

    p.115 166의 3번 문제 그룹지정

    select 도서.도서명, count(주문.주문수량) AS 총 주문횟수

    도서테이블의 도서명 필드와 주문테이블의 주문수량 의 수를 주문횟수로 출력한다? 가 무슨 말인지

    ->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데, 도서 테이블에 있는 도서명을 표시하고, 주문 테이블의 주문수량의 개수를 구한 후 그 결과값의 필드명을 총주문횟수로 해서 표시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결과값으로는 도서명, 총주문횟수가 표시됩니다.

    11.

    p.118

    핵심 171번- 01번

    문제 위 설명은..

    두 개의 테이블을 조인할 경우 첫 번째 테이블의 모든 필드와 두 번째 테이블의 모든 필드가 조인될 경우에도 카테션 곱이 발생한다..

    카테션 곱이 발생한 경우 검색되는 레코드의 수는 조인되는 테이블의 레코드를 모두 곱한 개수만큼, 필드는 모두 더한 개수만큼 검색된다.

    문제에서는..

    첫 번째 테이블의 모든 행들은 두 번째 테이블의 모든 행들과 조인된다.

    첫 번째 테이블의 행수를 두 번째 테이블의 행수로 곱한 것만큼의 행을 반환한다.

    필드값이랑 레코드랑 다른 건가요? 행수는 뭔가요?

    -> 필드와 레코드는 다른 것입니다. 예를들어 50명의 성적이 이름, 국어, 영어, 수학으로 하여 표시되어 있다고 한다면 이름, 국어, 영어, 수학 등은 필드에 해당하고 50명의 데이터는 레코드가 됩니다. 즉, 레코드는 한 학생의 성적 홍길동, 100, 100, 100이 하나의 레코드입니다. 행 수는 레코드의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50이겠죠.

    12.

    p.120-121 폼의 구성요소 02번문제

    2번문제의 보기1- 폼머리글: 폼의 제목과 같은 항목을 지정하는 구역으로 한번만 표시된다. -> 이 부분이 위 설명에는 인쇄미리보기에서 라고 하는데 왜 맞은 거죠?

    -> 다른 보기를 보면 모두 인쇄(인쇄미리보기) 상태일때는 설명하는 것이라 그렇게 본듯합니다. 세부적으로 본다면 정확히 명시하지 않아 예매하기는 하네요.

    13

    p.134

    202

    01

    openreport가 인쇄 기능이 있는 건가요

    -> 보고서를 불러오는 매크로인데요. 옵션을 인쇄미리보기가 아닌 인쇄로 하면 인쇄됩니다.

    02

    acNormal이 뭔가요?

    -> 기본 값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2017 실기책은 언제 나오나요?

    -> 지금쯤이면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을꺼예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