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리티 체크 비트에서 에러 검출을 위해 원래의 데이터에 추가되는 1비트라고 하셨는데요 ,
왜 데이터에 1비트가 추가되는지요 ?
그리고
- 짝수 (우수)패리티 : 1의 개수가 짝수가 되도록 만듦
- 홀수 (기수)패리티 : 1의 개수가 홀수가 되도록 만듦.
이라고 되어있는데요,
우수, 기수 뜻은 뭐고 짝수 홀수 패리티에 왜 1의 개수가 짝수 홀수가 되도록 만드나요 ...
안녕하세요.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추가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1011001' 이라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현재 1의 개수가 4개로 짝수인데, 여기에 패리티 체크비트 1을 추가하여 1의 개수를 5개, 즉 홀수로 만든 '10110011'을 전송하였다고 봅시다. 받는 쪽에서도 동일하게 1의 개수가 홀수인 상태로 전송이 됐으면 오류가 없는 것이고, 받는 쪽에서 1의 개수가 짝수인 상태로 전송이 됐다면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짝수를 우수, 홀수를 기수라고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4-05-30 10:12:56
안녕하세요.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추가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1011001' 이라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현재 1의 개수가 4개로 짝수인데, 여기에 패리티 체크비트 1을 추가하여 1의 개수를 5개, 즉 홀수로 만든 '10110011'을 전송하였다고 봅시다. 받는 쪽에서도 동일하게 1의 개수가 홀수인 상태로 전송이 됐으면 오류가 없는 것이고, 받는 쪽에서 1의 개수가 짝수인 상태로 전송이 됐다면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짝수를 우수, 홀수를 기수라고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