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4번 차트 문제에서 이중축 차트 찾아도 안나오는데 어디 있는 건가요?
2.차트 왼쪽에 0,200,400,600 나와있는 거 말고 오른 쪽에 0,50,100,150,200 나오게 하는 건 어떻게 해야하는 건가요? 책에는 하라는 말이 없지만 그림에 나와있으면 해야되는 거 맞나요?
3. 표의 제목은 전망이 왜 아래로 내려가는 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혼합형(이중축) 차트는 한 계열은 세로 막대형, 한 계열은 꺾은 선형을 지정하고, 보조 축(오른쪽 축)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각 계열의 차트 종류는 범례를 보고 판단할 수 있고, 기본 축과 보조 축은 표의 데이터를 보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문제지의 차트에서 범례를 보면 '2025년' 계열은 굵은 선, '증감' 계열은 얇은 선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를 보고 '2025년' 계열은 세로 막대형, '증감' 계열은 꺾은 선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본 축(왼쪽)의 최대 값은 600, 보조 축(오른쪽)의 최대 값은 200으로 봐서 '2025' 계열이 기본 축, '증감' 계열이 '보조 축'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차트를 만들면 기본적으로 세로 막대형 차트가 만들어지므로, '증감' 계열의 차트 종류를 '꺾은 선형'으로 변경한 후 보조 축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표에서 범위를 지정하고 차트를 만든다.
2) '증감' 계열을 선택한 후 차트 종류를 '꺾은 선형'으로 지정한다.
3) '증감' 계열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바로 가기 메뉴에서 [데이터 계열 속성]을 선택한다.
4) '개체 속성' 창에서 '보조 축'을 선택한다.
첨부한 파일에서 표 제목은 한 줄로 올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즉 잘못된 부분이 없어 따로 설명 드릴 것이 없네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관리자2022-11-28 09:26:42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혼합형(이중축) 차트는 한 계열은 세로 막대형, 한 계열은 꺾은 선형을 지정하고, 보조 축(오른쪽 축)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각 계열의 차트 종류는 범례를 보고 판단할 수 있고, 기본 축과 보조 축은 표의 데이터를 보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문제지의 차트에서 범례를 보면 '2025년' 계열은 굵은 선, '증감' 계열은 얇은 선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를 보고 '2025년' 계열은 세로 막대형, '증감' 계열은 꺾은 선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본 축(왼쪽)의 최대 값은 600, 보조 축(오른쪽)의 최대 값은 200으로 봐서 '2025' 계열이 기본 축, '증감' 계열이 '보조 축'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차트를 만들면 기본적으로 세로 막대형 차트가 만들어지므로, '증감' 계열의 차트 종류를 '꺾은 선형'으로 변경한 후 보조 축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표에서 범위를 지정하고 차트를 만든다.
2) '증감' 계열을 선택한 후 차트 종류를 '꺾은 선형'으로 지정한다.
3) '증감' 계열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바로 가기 메뉴에서 [데이터 계열 속성]을 선택한다.
4) '개체 속성' 창에서 '보조 축'을 선택한다.
첨부한 파일에서 표 제목은 한 줄로 올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즉 잘못된 부분이 없어 따로 설명 드릴 것이 없네요.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