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제가 21년도 워드프로세서 실기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한글2020이 없어서 한글2022 체험판으로 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질문 들어가겠습니다.
1. 차트에서 하나는 막대그래프, 다른 하나는 꺾은선 그래프로 만들어야 되는 차트가 있었는데요. 책을 보니 한글2020에는 꺾은선 그래프로 차트종류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 있던데 한글2022에는 그런 기능이 없는 것 같아요. 아무리 찾아봐도... 시험장에선 2020으로 시험보니 상관없겠지만 한번도 그래프를 변경해 본적이 없어서 걱정되네요. 한글2022에서는 어떻게 변경하는 것인지 알려주세요.
2. 표 안의 구분, 합계행은 무조건 가운데 정렬이고 나머지 내용 정렬은 왼쪽 구분 내용의 경우엔 무조건 왼쪽 정렬, 오른쪽 내용의 경우 무조건 오른쪽 정렬인 걸로 세부 지시사항에 써져있던데 막상 문제지를 보면 어떤 것은 가운데 정렬로 해놓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채점프로그램에서도 오류가 뜨고요. 시험장에선 어떻게 해야 하나요??
3. 바탕글을 전부 작성한 후에 스타일 개요2를 적용시키면 문단이 나뉘어지는 경우 띄어쓰기가 헷갈릴 때가 있어요. 예를 들면 띄어쓰기가 아닌 줄 알고 그렇게 작성을 했는데 스타일 개요2를 적용시키면 문단이 나뉘어지고 채점을 돌려보니 그곳에 띄어쓰기를 해야 한다고 뜰 때가 있어요. 이렇게 애매모호한 부분은 어떻게 해야 정확히 할 수 있나요??
4. 캡션에서 자꾸 첨자가 뜨는데 첨자가 무엇인지 모르겠고 왜 그런 게 뜨는 건지 이유를 알고 싶어요.
5. 글상자에서 세부지시사항에 색상 00% 밝게 부분이 있던데 한글2022에서는 그런 기능이 없는 것 같아요. 제가 못 찾는 걸까요?ㅠㅠ 어디를 들어가야 색상 %기능을 알 수 있을까요??
6. 한글2020과 한글2022의 색상이 다른 것인지.... 세부지시사항에 맞게 RGB 숫자 적용시켜서 색상 입혀도 채점 돌려보면 전부 오류로 뜨네요. ㅠㅠ 시험장에선 지시사항에 따라 그대로 적용하면 문제 없는 거겠죠???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워드 실기 시험이 한글 2020으로 시행되고 있어, 이외 버전(2018, 2022 등)은 사용하고 있지 않아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가 없네요.
차트의 경우 각 버전마다 방식이 조금씩 다르므로 교재의 방법을 정확히 숙지해 두세요.
2. 표의 정렬은 다음과 같이 지정하면 됩니다.
① 제목행(1행)과 합계/평균 셀(1열 6행)은 알고 계신대로 항상 '가운데 정렬'을 지정하면 됩니다.
② 문자(1열 2~5행)의 경우 길이가 같으면 '가운데 정렬'을, 다르면 '왼쪽 정렬'을 지정하면 됩니다.
③~⑤ 숫자(2열 2행 ~ 4열 5행)의 경우 각 열을 기준으로 길이가 같으면 '가운데 정렬'을, 다르면 '오른쪽 정렬'을 지정하면 됩니다.
연습하는 가운데 표 정렬이 애매한 것은 해당 한글 파일을 첨부해 주세요.
확인 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 문의한 띄어쓰기는 행의 마지막 단어와 다음 행의 첫 단어 사이의 띄어쓰기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는 문법에 맞게 적용시켜 줘야 합니다.
또는 문서 내 같은 단어가 있는지 확인한 후 그에 맞게 적용하면 됩니다.
팁을 하나 드리면 워드 실기 시험 시행처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인지하고 있어 대부분의 문제에서 붙여쓰는 단어를 출제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띄어쓰기를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모르겠다면 그냥 붙여서 입력하세요.
시나공 교재의 문제를 작성할 때도 이런 띄어쓰기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4. 첨자는 내용을 추가로 입력한 것입니다.
대부분 문장의 끝에 빈 칸이 하나 있는 경우이므로 이를 확인하여 빈 칸을 삭제해 주세요.
만약 문장의 끝에 빈 칸이 없는데도 첨자로 감점된다면 직접 작성한 한글 파일을 첨부해 주세요.
확인 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5. 색상표에서 첫 번째 행은 기본 색상(빨강, 파랑, 노랑 등)이, 기본 색상 아래로는 하위 색상(빨강 X% 밝게, 파랑 X% 어둡게 등)이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빨강(RGB : 255,0,0) 60% 밝게'로 지정하려면 '빨강'의 하위 색상 중 찾아서 선택하면 됩니다.
기본 색상은 한글 버전에 관계 없이 모두 동일하지만 하위 색상의 경우 한글 버전에 따라 다릅니다.
그러므로 한글 2022로 연습할 때 하위 색상이 없는 경우 그냥 임의의 색을 지정하세요.
시험장에서는 세부 지시사항에 있는 모든 색이 있으므로 반드시 해당 색을 지정해야 합니다.
6.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한글 버전에 따라 일부 색상이 다르기 때문에 감점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정확한 것은 회원님께서 작성한 한글 파일을 확인해야 원인을 알 수 있습니다.
색상을 정확히 지정한 것 같은데 감점된 경우 해당 한글 파일을 첨부해 주세요.
확인 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관리자2022-04-14 09:29:59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워드 실기 시험이 한글 2020으로 시행되고 있어, 이외 버전(2018, 2022 등)은 사용하고 있지 않아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가 없네요.
차트의 경우 각 버전마다 방식이 조금씩 다르므로 교재의 방법을 정확히 숙지해 두세요.
2. 표의 정렬은 다음과 같이 지정하면 됩니다.
① 제목행(1행)과 합계/평균 셀(1열 6행)은 알고 계신대로 항상 '가운데 정렬'을 지정하면 됩니다.
② 문자(1열 2~5행)의 경우 길이가 같으면 '가운데 정렬'을, 다르면 '왼쪽 정렬'을 지정하면 됩니다.
③~⑤ 숫자(2열 2행 ~ 4열 5행)의 경우 각 열을 기준으로 길이가 같으면 '가운데 정렬'을, 다르면 '오른쪽 정렬'을 지정하면 됩니다.
연습하는 가운데 표 정렬이 애매한 것은 해당 한글 파일을 첨부해 주세요.
확인 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 문의한 띄어쓰기는 행의 마지막 단어와 다음 행의 첫 단어 사이의 띄어쓰기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는 문법에 맞게 적용시켜 줘야 합니다.
또는 문서 내 같은 단어가 있는지 확인한 후 그에 맞게 적용하면 됩니다.
팁을 하나 드리면 워드 실기 시험 시행처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인지하고 있어 대부분의 문제에서 붙여쓰는 단어를 출제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띄어쓰기를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모르겠다면 그냥 붙여서 입력하세요.
시나공 교재의 문제를 작성할 때도 이런 띄어쓰기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4. 첨자는 내용을 추가로 입력한 것입니다.
대부분 문장의 끝에 빈 칸이 하나 있는 경우이므로 이를 확인하여 빈 칸을 삭제해 주세요.
만약 문장의 끝에 빈 칸이 없는데도 첨자로 감점된다면 직접 작성한 한글 파일을 첨부해 주세요.
확인 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5. 색상표에서 첫 번째 행은 기본 색상(빨강, 파랑, 노랑 등)이, 기본 색상 아래로는 하위 색상(빨강 X% 밝게, 파랑 X% 어둡게 등)이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빨강(RGB : 255,0,0) 60% 밝게'로 지정하려면 '빨강'의 하위 색상 중 찾아서 선택하면 됩니다.
기본 색상은 한글 버전에 관계 없이 모두 동일하지만 하위 색상의 경우 한글 버전에 따라 다릅니다.
그러므로 한글 2022로 연습할 때 하위 색상이 없는 경우 그냥 임의의 색을 지정하세요.
시험장에서는 세부 지시사항에 있는 모든 색이 있으므로 반드시 해당 색을 지정해야 합니다.
6.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한글 버전에 따라 일부 색상이 다르기 때문에 감점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정확한 것은 회원님께서 작성한 한글 파일을 확인해야 원인을 알 수 있습니다.
색상을 정확히 지정한 것 같은데 감점된 경우 해당 한글 파일을 첨부해 주세요.
확인 후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