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2025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p 160 예제
도서
2025 시나공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기본서
페이지
160
조회수
42
작성일
2025-08-23
작성자
윤*혁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몇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 단정도 실수와 부정도 실수가 뭔가요?


2. float는 반드시 단정도 실수, double은 부정도 실수를 받는 자료형인가요?


3. float a = 125.23f 에서는 f를 붙였는데 왜 float b에 저장한 값에는 f를 붙이지 않나요?


4. 가수부가 무엇인가요?


5. P 161 전문가의 조언을 보면 실수가 실수형 변수에 저장될 때는 정규화 과정을 거쳐 가수부를 한 자리만 남긴다고 되어있는데 예제에서 변수 a에 저장한값은 실수임에도 불구하고 왜 정규화 과정을 거치지 않나요?


6. 문자열은 큰 따옴표를 쓰는건 배웠습니다만 char c = 열에서 작은 따옴표는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답변
2025-08-24 18:53:4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번 답변, 2번 답변

단정도 부동소수점과 배정도 부동소수점의 차이는 자료 표현범위, 소수점 정밀도 차이입니다

단정도는 메모리 절약과 연산 속도가 중요한 경우 사용하고,

배정도는 정확성이 중요한 경우 사용합니다.


단정도 부동소수점 (Single Precision) - 32비트(4바이트) 를 사용하여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표현 가능한 값의 범위는 약 ±1.18 × 10⁻³⁸ ~ ±3.4 × 10³⁸ 이고, 소수점 이하 약 7자리의 정밀도 제공합니다


배정도 부동소수점 (Double Precision) - 64비트(8바이트) 를 사용하여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표현 가능한 값의 범위는 약 ±2.23 × 10⁻³⁰⁸ ~ ±1.8 × 10³⁰⁸이고, 소수점 이하 약 15~16자리의 정밀도 제공합니다



3번 답변

float a 의 경우 소수의 값을 입력하는것이라 단정도 실수값이라는것이기 때문에 f를 붙인것이고

float b 의 경우 지수값을 입력하는것이라 f를 붙이지 않은것입니다.



4번 답변

가수부는 수의 유효 자릿수를 나타냅니다.

가수부는 정규화되어 저장되며, 부동소수점 수의 정밀도를 결정합니다.



5번 답변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은 고정소수점 방식과 부동소수점 방식이 있습니다. 고정소수점은 소수점이 고정되어 있고, 실수를 2진수로 변환한 값을 그대로 대입하는 방식입니다. 부동소수점은 실수를 표현할 때 소수점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형태에 맞게 소수점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정규화 과정을 거쳐 값을 표현합니다 고정 소수점 방식의 경우 구현하기 편하지만, 자릿수가 작아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입니다. 반면, 부동 소수점 방식의 경우 정규화를 통해 지수부와 가수부로 나타냄으로써 같은 비트수일 때, 고정 소수점 방식보다 더 넓은 범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6번 답변

쌍따옴표는 말씀하신것처럼 "문자열"을

홑따옴표는 "문자"를 표현합니다.

문자는 1개의 문자이고, 문자열은 여러글자를 말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5-08-24 18:53:4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번 답변, 2번 답변

    단정도 부동소수점과 배정도 부동소수점의 차이는 자료 표현범위, 소수점 정밀도 차이입니다

    단정도는 메모리 절약과 연산 속도가 중요한 경우 사용하고,

    배정도는 정확성이 중요한 경우 사용합니다.


    단정도 부동소수점 (Single Precision) - 32비트(4바이트) 를 사용하여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표현 가능한 값의 범위는 약 ±1.18 × 10⁻³⁸ ~ ±3.4 × 10³⁸ 이고, 소수점 이하 약 7자리의 정밀도 제공합니다


    배정도 부동소수점 (Double Precision) - 64비트(8바이트) 를 사용하여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표현 가능한 값의 범위는 약 ±2.23 × 10⁻³⁰⁸ ~ ±1.8 × 10³⁰⁸이고, 소수점 이하 약 15~16자리의 정밀도 제공합니다



    3번 답변

    float a 의 경우 소수의 값을 입력하는것이라 단정도 실수값이라는것이기 때문에 f를 붙인것이고

    float b 의 경우 지수값을 입력하는것이라 f를 붙이지 않은것입니다.



    4번 답변

    가수부는 수의 유효 자릿수를 나타냅니다.

    가수부는 정규화되어 저장되며, 부동소수점 수의 정밀도를 결정합니다.



    5번 답변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은 고정소수점 방식과 부동소수점 방식이 있습니다. 고정소수점은 소수점이 고정되어 있고, 실수를 2진수로 변환한 값을 그대로 대입하는 방식입니다. 부동소수점은 실수를 표현할 때 소수점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형태에 맞게 소수점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정규화 과정을 거쳐 값을 표현합니다 고정 소수점 방식의 경우 구현하기 편하지만, 자릿수가 작아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입니다. 반면, 부동 소수점 방식의 경우 정규화를 통해 지수부와 가수부로 나타냄으로써 같은 비트수일 때, 고정 소수점 방식보다 더 넓은 범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6번 답변

    쌍따옴표는 말씀하신것처럼 "문자열"을

    홑따옴표는 "문자"를 표현합니다.

    문자는 1개의 문자이고, 문자열은 여러글자를 말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