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다치 종속 개념이 어떤건지 잘 모르겠어요
04. 3EF 결정자 이면서 후보키가 아닌 것 제거가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다치 종속(다중 값 종속)을 어떻게 설명을 드려야 할지 애매하네요
A, B, C 3개의 속성을 가진 테이블 R에서
어떤 복합 속성(A, C)에 대응하는 B 값의 집합이 A 값에만 종속되고 C 값에는 무관하면,
B는 A에 다중 값 종속이라 하고, A →→ B로 표기합니다.
실무에서도 4정규형 이상은 잘 사용되지 않으므로 시험에서도 실무 문제보다는 개념적인 내용만 출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 <수강_교수>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을 했을때
<수강_교수>테이블(제3정규형)은 함수적종속{(학번,과목명)→담당교수,(학번,담당교수)→과목명,담당교수→과목명}을 만족하고 있고,
<수강_교수>테이블의후보키는(학번,과목명)과(학번,담당교수)입니다
<수강_교수>테이블에서 결정자 중 후보키가 아닌 속성이 존재합니다
즉, 함수적 종속 담당교수→과목명이 존재하는데, 담당교수가 <수강_교수>테이블에서 후보키가 아니기 때문에 <수강_교수>테이블은 BCNF가 아닙니다
<수강_교수> 테이블에서 BCNF를 만족하지 못하게 하는 속성 (즉 담당교수 → 과목명)을 분리해내면 아래와 같이 BCNF인 <수강> 테이블과 <교수> 테이블로 무손실 분해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5-04-14 12:17:2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다치 종속(다중 값 종속)을 어떻게 설명을 드려야 할지 애매하네요
A, B, C 3개의 속성을 가진 테이블 R에서
어떤 복합 속성(A, C)에 대응하는 B 값의 집합이 A 값에만 종속되고 C 값에는 무관하면,
B는 A에 다중 값 종속이라 하고, A →→ B로 표기합니다.
실무에서도 4정규형 이상은 잘 사용되지 않으므로 시험에서도 실무 문제보다는 개념적인 내용만 출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 <수강_교수>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을 했을때
<수강_교수>테이블(제3정규형)은 함수적종속{(학번,과목명)→담당교수,(학번,담당교수)→과목명,담당교수→과목명}을 만족하고 있고,
<수강_교수>테이블의후보키는(학번,과목명)과(학번,담당교수)입니다
<수강_교수>테이블에서 결정자 중 후보키가 아닌 속성이 존재합니다
즉, 함수적 종속 담당교수→과목명이 존재하는데, 담당교수가 <수강_교수>테이블에서 후보키가 아니기 때문에 <수강_교수>테이블은 BCNF가 아닙니다
<수강_교수> 테이블에서 BCNF를 만족하지 못하게 하는 속성 (즉 담당교수 → 과목명)을 분리해내면 아래와 같이 BCNF인 <수강> 테이블과 <교수> 테이블로 무손실 분해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박*진2025-04-14 22:48:28<수강_교수>테이블(제3정규형)은 함수적종속{(학번,과목명)→담당교수,(학번,담당교수)→과목명,담당교수→과목명}을 만족하고 있고, 이부분을 잘 모르겠어요 어떻게 테이블에서 각 속성간의 종속 관계를 파악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