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
void func(int i, int j);
void main(){
int a=3, b=12;
func(a,b);
printf("%d, %d\n",a,b);
}
void func(i, j)
int i,j;
{
i*=3;
j/=3;
printf("%d, %d\n",i,j);
}
교재에 있는 C코드는 처음 보는 함수 코드 스타일이라 찾아보니 K&R 스타일이라고 예전에 사용하던 방식이라고 하네요.
굳이 예제코드를 이렇게 써 놓은 이유가 있을까요?
#include
void func(int i, int j){
i*=3;
j/=3;
printf("%d, %d\n",i,j);
}
void main(){
int a=3, b=12;
func(a,b);
printf("%d, %d\n",a,b);
}
이렇게 수정되는 것이 더 간결하다고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회원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수정하면 코드가 더 간결하게 표현됩니다.
예제 문제/ 예상문제은행 문제의 경우 다양한 표현을 학습하기 위한 문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물론 실제 시험 문제로 나오기 어렵거나 나올 경우 별도의 처리조건이 제시되는 문제들도 있습니다.
선언문의 형태나 다양한 서식 문자열의 문제들은 좀 더 다양한 문제를 학습하기 위한 것으로
어떤 유형의 문제가 출제되지 몰라 다양하게 수록한 것으로
향후 시험에 출제되는 문제 유형이 고정되어 불필요한 문제라고 판단되는 경우 다른 문제로 대치할 예정입니다.
열심히 공부하셔서 합격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4-06-04 18:53:1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회원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수정하면 코드가 더 간결하게 표현됩니다.
예제 문제/ 예상문제은행 문제의 경우 다양한 표현을 학습하기 위한 문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물론 실제 시험 문제로 나오기 어렵거나 나올 경우 별도의 처리조건이 제시되는 문제들도 있습니다.
선언문의 형태나 다양한 서식 문자열의 문제들은 좀 더 다양한 문제를 학습하기 위한 것으로
어떤 유형의 문제가 출제되지 몰라 다양하게 수록한 것으로
향후 시험에 출제되는 문제 유형이 고정되어 불필요한 문제라고 판단되는 경우 다른 문제로 대치할 예정입니다.
열심히 공부하셔서 합격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