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쪽의 문제8번
문제로 나온다면 "다대다"라고 써야하나요 아니면 "다대다 관계"라고 써도 될까요?
196쪽의 문제1번
1.
a /= b++ - c * d;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보면 단항연산자가 산술연산자보다 높아서 b++을 먼저 진행하고 연산을 진행해야하나 아니면 후치연산자와 전치연산자의 관점으로 봐서 모든 연산 후에 1을 증가시켜야 하나 헷갈려서 질문 드립니다.
2. ++를 후치연산자와 단항연산자 중에서 어떤걸로 우선 생각을 해서 문제를 풀어야할까요?
+247쪽의 문제6번에서
if (Myint.a++ >= Myint.b--)
Myint.c = Myint.a - Myint.b;
else
Myint.c = Myint.a + Myint.b;
이걸 풀다가
if (Myint.++a >= Myint.--b)
Myint.c = Myint.a - Myint.b;
else
Myint.c = Myint.a + Myint.b;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다대다, n:n, 다대다 관계, n:n 관계 모두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2]
전치 후치는 세미콜론(;) 또는 쉼표(,)로 구분되는 식의 전/후에 적용됩니다.
해당 식은 다음 차례로 계산하는 것이 맞습니다.
a /= b - c * d;
b = b+1;
[3]
++과 --는 단항연산자이자 전/후치연산자입니다.
전자는 조건식을 체크한 후에 Myint.a와 Myint.b의 값이 각각 1증가, 1감소를 수행하겠고,
후자는 조건식 체크 전에 Myint.a와 Myint.b의 값이 각각 1증가, 1감소를 수행하겠죠.
참고로 Myint.++a가 아닌 ++Myint.a와 같이 입력하셔야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3-11-09 22:57:3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다대다, n:n, 다대다 관계, n:n 관계 모두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2]
전치 후치는 세미콜론(;) 또는 쉼표(,)로 구분되는 식의 전/후에 적용됩니다.
해당 식은 다음 차례로 계산하는 것이 맞습니다.
a /= b - c * d;
b = b+1;
[3]
++과 --는 단항연산자이자 전/후치연산자입니다.
전자는 조건식을 체크한 후에 Myint.a와 Myint.b의 값이 각각 1증가, 1감소를 수행하겠고,
후자는 조건식 체크 전에 Myint.a와 Myint.b의 값이 각각 1증가, 1감소를 수행하겠죠.
참고로 Myint.++a가 아닌 ++Myint.a와 같이 입력하셔야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