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Python에서 print문은 출력해야 할 인수가 여러 개일 때는 인수 간의 구분은 '공백', 출력이 종료되면 '줄나눔'이 표시됩니다.
totsu, tot 사이에 있는 쉼표는 단순히 인수를 구분하는 구분자입니다.
형식
print(출력값1, 출력값2, …, sep = 분리문자, end = 종료문자)
• ‘출력값’에는 숫자, 문자, 문자열, 변수 등 다양한 값이나 식이 올 수 있다.
• ‘sep’는 여러 값을 출력할 때 값과 값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출력하는 문자로, 생략할 경우 기본값은 공백 한 칸(‘ ’)이다.
• ‘end’는 맨 마지막에 표시할 문자로, 생략할 경우 기본값은 줄 나눔이다.
예) print(82, 24, sep = '-', end = ',)' → 8 2와 24 사이에 분리문자 ‘-’가 출력되고, 마지막에 종료문자 ‘,’가 출력된다.
결과) 82-24,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8-10 10:38:4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Python에서 print문은 출력해야 할 인수가 여러 개일 때는 인수 간의 구분은 '공백', 출력이 종료되면 '줄나눔'이 표시됩니다.
totsu, tot 사이에 있는 쉼표는 단순히 인수를 구분하는 구분자입니다.
형식
print(출력값1, 출력값2, …, sep = 분리문자, end = 종료문자)
• ‘출력값’에는 숫자, 문자, 문자열, 변수 등 다양한 값이나 식이 올 수 있다.
• ‘sep’는 여러 값을 출력할 때 값과 값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출력하는 문자로, 생략할 경우 기본값은 공백 한 칸(‘ ’)이다.
• ‘end’는 맨 마지막에 표시할 문자로, 생략할 경우 기본값은 줄 나눔이다.
예) print(82, 24, sep = '-', end = ',)' → 8 2와 24 사이에 분리문자 ‘-’가 출력되고, 마지막에 종료문자 ‘,’가 출력된다.
결과) 82-24,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