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2020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모의 3회 (문제 13)
도서
2020 시나공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 NCS 기반 전면 개편
페이지
0
조회수
247
작성일
2020-09-29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문제 13>

 

OSI 7 계층 중 전송계층(Transport Layer)의 프로토콜로, 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그램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며, 오류 정정이나 재송신

 

                                                                                    ↑                  

 

                                                                          (무슨 뜻인지?)

   

    뜻: 패킷 교환을 할 때에 데이터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의 사전 접속 절차에 의존하지 않는 자급식 패킷 

          ↑

        packet (약어 PKT): 특정 형식으로 배열되어 전송의 처리 과정에 의해 결정되는 하나의 정리로서 전송轉送되는

                                    데이터 및 제어비트열                                                                                                                                               

 

 

기능이 없다. 데이터 전송 전에 연결을 설정하지 않는 비연결형 서비스이며, 단순한 헤더

                                                                                   ↑

                                                                                                               TCP는 연결형 서비스, UDP는 비연결형 서비스 -무슨 뜻입니까?

                                                                        Transimission Control Protocol는

                                                                       IP 프로토콜 위에서 연결형 서비스 지원

                                                                     전이중(Full Duplex) 방식의 양방향 가상 회선 제공

                                                                                                                                               

구조로 인해 오버헤드가 적어, 실시간 전송 및 속도가 중요시 되는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

              뜻: 제어 프로그램이 시스템 지원을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

                                                    ↑

                                                 무슨 뜻?

 

 

용되는 프로토콜을 쓰시오.                                                   

 

정답 : UDP(User Datagram Protocol)  

답변
2020-09-29 15:34:1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데이터그램은 기능사 수준에서는 그저 통신에 맞게 표준화되기 전의 프로그램에 적합한 패킷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연결형이라는 것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너 있니? ㅇㅇ 있음, 보내도 되니? 좀만 더 기다려' 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연결형은 이런 과정 없이 해당 주소로 보내버리는 것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버헤드는 다른 의미를 찾으셨습니다. 헤더란 데이터들의 가장 앞에 배치되는 데이터로 뒤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갖습니다.

오버헤드는 헤더가 포함하지 못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으며, 오버헤드가 작을 수록 전송에 유리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0-09-29 15:34:1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데이터그램은 기능사 수준에서는 그저 통신에 맞게 표준화되기 전의 프로그램에 적합한 패킷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연결형이라는 것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너 있니? ㅇㅇ 있음, 보내도 되니? 좀만 더 기다려' 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연결형은 이런 과정 없이 해당 주소로 보내버리는 것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버헤드는 다른 의미를 찾으셨습니다. 헤더란 데이터들의 가장 앞에 배치되는 데이터로 뒤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갖습니다.

    오버헤드는 헤더가 포함하지 못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으며, 오버헤드가 작을 수록 전송에 유리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