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1
a=['무화과', '다래', '아보카도', '귤', '석류']
wid = 0
for i in a:
if wid < len(i):
print(i, end = ' ')
wid = len(i)
len은 문자열의 길이. 예) 아보카도는 한글 한자씩 4개.
wid은 무슨 뜻 입니까?
wid i len(i) wid < len(i) 출력
0
3 무화과 3 Yes 무화과
2 다래 2 No
4 아보카도 4 Yes 무화과 아보카도
1 귤 1 No
2 석류 2 Yes 무화과 아보카도 석류
무슨 뜻? 무슨 뜻? 무슨 뜻?
위 표에서 wid, wid<len(i) Yes, No, 출력의 무화과 아보카도 석류는 무슨 뜻입니까?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wid는 단순시 각 요소의 길이를 저장하는 변수입니다.
각 요소들이 저장한 문자열의 길이 3(무화과), 2(다래), 4(아보카도), 1(귤), 2(석류)를 저장하게 되겠죠.
wid는 이전 요소의 문자열의 길이를 저장하고,
if문에서 현재 요소의 문자열의 길이와 비교합니다.
즉 현재 비교하는 문자열의 길이가, 이전 문자열의 길이보다 크면 화면에 해당 문자열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죠.
이전문자열의 길이(wid) < 현재 문자열의 길이(len(i)) 비교한 후, 맞은 yes, 아니면 no 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9-28 13:43:3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wid는 단순시 각 요소의 길이를 저장하는 변수입니다.
각 요소들이 저장한 문자열의 길이 3(무화과), 2(다래), 4(아보카도), 1(귤), 2(석류)를 저장하게 되겠죠.
wid는 이전 요소의 문자열의 길이를 저장하고,
if문에서 현재 요소의 문자열의 길이와 비교합니다.
즉 현재 비교하는 문자열의 길이가, 이전 문자열의 길이보다 크면 화면에 해당 문자열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죠.
이전문자열의 길이(wid) < 현재 문자열의 길이(len(i)) 비교한 후, 맞은 yes, 아니면 no 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11-06 14:12:0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해당 코드에서 wid는 정수를 저장하는 변수로, 리스트 a에 저장된 각 문자열의 길이를 저장합니다.
wid = len(i) <- 이 문장이 i에 저장된 문잦열의 길이를 wid에 저장하는 코드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2020-11-05 20:22:59
wid가 이전 문자열 길이라는데 이게 무슨 뜻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