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보처리기능사 실기를 공부하던 중 문제에 대한 질문이 있어 문의를 드립니다.
560쪽 문제 18번이 묻고 있는 문제가 실행 결과의 튜플 총 개수를 묻는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동그라미 3번의 정답이 1이였는데,
이는 (1) 집계 함수 count의 연산 결과로 1인 것인가요, (2) 단순히 실행 결과의 튜플 개수로 1인 것인가요?
만약 (2)와 같은 이유로 1이라는 정답이 나온 것이라면,
보기에 주어진 동그라미 3번의 SQL 질의문에서 조건절(where 문)이 빠지거나 distinct 명령어가 빠져도
count의 연산 결과는 항상 튜플 1개로 출력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count 연산의 결과가 아닌 1이라고 써야 할까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음.. 생각해보지도 않았던 부분을 질문주셨네요.
이와 같은 경우는 문제의 의도를 이해해서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해당 문제는 실제 시험에 출제되었던 문제입니다.)
문제의 의도는 해당 코드를 수행했을 때 출력될 튜플의 수를 수험자가 구할 수 있는 지 묻는 것이고, COUNT 함수는 튜플의 수를 구하는 함수이므로 COUNT 함수의 결과인 1을 적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여겨집니다. < (1)에 해당 >
일반적으로 뒤에 말씀하신 것과 같이 논란이 될 수 있는 문제는 거의 출제될 가능성이 적으며, 그러한 경우 각 SQL 코드마다 세부 문항이 존재할 것입니다. 그래도 만약 그와 같은 문제가 출제된다면 출제자의 의도에 맞춰 COUNT의 결과를 적어주는 방향이 맞지 않나 싶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6-09 16:41:0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음.. 생각해보지도 않았던 부분을 질문주셨네요.
이와 같은 경우는 문제의 의도를 이해해서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해당 문제는 실제 시험에 출제되었던 문제입니다.)
문제의 의도는 해당 코드를 수행했을 때 출력될 튜플의 수를 수험자가 구할 수 있는 지 묻는 것이고, COUNT 함수는 튜플의 수를 구하는 함수이므로 COUNT 함수의 결과인 1을 적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여겨집니다. < (1)에 해당 >
일반적으로 뒤에 말씀하신 것과 같이 논란이 될 수 있는 문제는 거의 출제될 가능성이 적으며, 그러한 경우 각 SQL 코드마다 세부 문항이 존재할 것입니다. 그래도 만약 그와 같은 문제가 출제된다면 출제자의 의도에 맞춰 COUNT의 결과를 적어주는 방향이 맞지 않나 싶습니다.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