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403]
예, 상관없습니다.
해당 프로세스에서 j+1은 항상 6의 값을 가지므로 정답입니다.
[411]
예, 정답입니다.
위와 마찬가지로 해당 프로세스에서 k는 항상 8의 값을 갖고 도착하므로, -7을 수행하셔도 무관합니다.
[415]
예, 정답입니다.
p는 항상 11의 값을 가지므로 상수 10을 cnt에 저장해도 무관합니다.
첫번째와 세번째는 기존의 변수를 활용하지 않고 상수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셨습니다.
해당 순서도에서 회원님의 답은 정답이지만, 응용문제가 나오는 경우를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415쪽의 11번의 경우 순서도는 10명을 반드시 입력받도록 되어있으나, EOF(입력이 없으면 종료) 등으로 앞의 입력과정이 끝나는 경우 P의 값은 미지수가 되기 때문에 반드시 변수 p를 활용해주어야 합니다.
이와 같이 문제에서 입력구문 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수를 사용하게 되면 오답이 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3-26 11:40:0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403]
예, 상관없습니다.
해당 프로세스에서 j+1은 항상 6의 값을 가지므로 정답입니다.
[411]
예, 정답입니다.
위와 마찬가지로 해당 프로세스에서 k는 항상 8의 값을 갖고 도착하므로, -7을 수행하셔도 무관합니다.
[415]
예, 정답입니다.
p는 항상 11의 값을 가지므로 상수 10을 cnt에 저장해도 무관합니다.
첫번째와 세번째는 기존의 변수를 활용하지 않고 상수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셨습니다.
해당 순서도에서 회원님의 답은 정답이지만, 응용문제가 나오는 경우를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415쪽의 11번의 경우 순서도는 10명을 반드시 입력받도록 되어있으나, EOF(입력이 없으면 종료) 등으로 앞의 입력과정이 끝나는 경우 P의 값은 미지수가 되기 때문에 반드시 변수 p를 활용해주어야 합니다.
이와 같이 문제에서 입력구문 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값이 변화하는 경우 상수를 사용하게 되면 오답이 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