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아래쪽 배열의 목적을 기억하세요.
a = {2, 4, 6, 8, 10}
b = {1, 3}
위와 같은 배열이 있을 때, b의 입력이 끝나면 (반복문 진입 전까지)
c = {1, 2, 3} 과 같은 형태가 되어있을 것입니다.
이때 a의 나머지 수를 차례대로 4, 6, 8, 10을 넣어줘야 하는데, a(t) - (이 때 t는 4의 위치를 가리키는 2를 저장하고 있겠죠.) - 를 반복적으로 저장하게 되면,
c = {1, 2, 3, 4, 4, 4, 4} 가 되어 버립니다.
t값부터 a배열의 마지막 수인 L까지 차례대로 증가하는 반복변수가 들어가야 적합하겠죠.
즉, 반복 변수 p는 처음 t(2)의 값을 가지고, 2부터 L(5)까지, 2, 3, 4, 5로 증가하면서 수를 정상적으로 삽입하게 됩니다.
[2]
%10은 해당 수의 1의 자리를 구하기 위함입니다.
1234의 %10은 4,
이후 /10을 하여 m은 123을 만듭니다.
%10은 3,
이후 /10을 하여 m은 123을 만듭니다.
%10은 2... 이런 식으로 각 자리수를 뽑는 방식의 알고리즘이죠.
배열이 0부터 시작한다는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s(0) = 0 , s(1) = 1, s(2) = 2, s(3) = 3, s(4) = 4 .... s(9) = 9
이런 식이죠.
만약 1부터였다면,
s(1) = 0, s(2) = 1, s(3) = 2, s(4) = 3 ... s(10) = 9
이렇게 되었겠죠.
배열이 0부터 시작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알아두세요.
[3]
예, 무방합니다.
최신기출문제 정도는 풀어보시는 것이 좋으므로, 홈페이지 [프리미엄 존] - [시험대비자료]에서 교재에 없는 2019년 최신기출문제를 다운받아 풀어보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11-11 09:52:3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아래쪽 배열의 목적을 기억하세요.
a = {2, 4, 6, 8, 10}
b = {1, 3}
위와 같은 배열이 있을 때, b의 입력이 끝나면 (반복문 진입 전까지)
c = {1, 2, 3} 과 같은 형태가 되어있을 것입니다.
이때 a의 나머지 수를 차례대로 4, 6, 8, 10을 넣어줘야 하는데, a(t) - (이 때 t는 4의 위치를 가리키는 2를 저장하고 있겠죠.) - 를 반복적으로 저장하게 되면,
c = {1, 2, 3, 4, 4, 4, 4} 가 되어 버립니다.
t값부터 a배열의 마지막 수인 L까지 차례대로 증가하는 반복변수가 들어가야 적합하겠죠.
즉, 반복 변수 p는 처음 t(2)의 값을 가지고, 2부터 L(5)까지, 2, 3, 4, 5로 증가하면서 수를 정상적으로 삽입하게 됩니다.
[2]
%10은 해당 수의 1의 자리를 구하기 위함입니다.
1234의 %10은 4,
이후 /10을 하여 m은 123을 만듭니다.
%10은 3,
이후 /10을 하여 m은 123을 만듭니다.
%10은 2... 이런 식으로 각 자리수를 뽑는 방식의 알고리즘이죠.
배열이 0부터 시작한다는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s(0) = 0 , s(1) = 1, s(2) = 2, s(3) = 3, s(4) = 4 .... s(9) = 9
이런 식이죠.
만약 1부터였다면,
s(1) = 0, s(2) = 1, s(3) = 2, s(4) = 3 ... s(10) = 9
이렇게 되었겠죠.
배열이 0부터 시작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알아두세요.
[3]
예, 무방합니다.
최신기출문제 정도는 풀어보시는 것이 좋으므로, 홈페이지 [프리미엄 존] - [시험대비자료]에서 교재에 없는 2019년 최신기출문제를 다운받아 풀어보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