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정보처리기능사 2019실기p.135,부록p.46
도서
2019 시나공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페이지
135
조회수
149
작성일
2019-11-09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3번과5번빈칸보면 c(k)=b(p),c(k)=a(p)에 굳이 각 위치를 지정해주는 변수t,j가 있는데 c(k)=b(j),c(k)=a(t)가 안되고 p를 쓰는 이유좀... 2.부록p46보면 2번에 왜 m%10인지좀,알려주세요.또한S(i)=A(k)인데 배열표를 보면 A(k)에서k가4이므로s(i)은1이므로 첫번째칸에 3이들어가는거 아닌가요?a(10)이 0부터 시작하므로 3.2020년은 2019년 실기책으로 공부해도 무방하나요?
답변
2019-11-11 09:52:3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아래쪽 배열의 목적을 기억하세요.

a = {2, 4, 6, 8, 10}

b = {1, 3}

위와 같은 배열이 있을 때, b의 입력이 끝나면 (반복문 진입 전까지)

c = {1, 2, 3}  과 같은 형태가 되어있을 것입니다.

이때 a의 나머지 수를 차례대로 4, 6, 8, 10을 넣어줘야 하는데, a(t) - (이 때 t는 4의 위치를 가리키는 2를 저장하고 있겠죠.) - 를 반복적으로 저장하게 되면,

c = {1, 2, 3, 4, 4, 4, 4} 가 되어 버립니다.

t값부터 a배열의 마지막 수인 L까지 차례대로 증가하는 반복변수가 들어가야 적합하겠죠.

즉, 반복 변수 p는 처음 t(2)의 값을 가지고, 2부터 L(5)까지, 2, 3, 4, 5로 증가하면서 수를 정상적으로 삽입하게 됩니다.

 

 

[2]

%10은 해당 수의 1의 자리를 구하기 위함입니다.

1234의 %10은 4,

이후 /10을 하여 m은 123을 만듭니다.

%10은 3,

이후 /10을 하여 m은 123을 만듭니다.

%10은 2... 이런 식으로 각 자리수를 뽑는 방식의 알고리즘이죠.

 

배열이 0부터 시작한다는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s(0) = 0 , s(1) = 1, s(2) = 2, s(3) = 3, s(4) = 4 .... s(9) = 9

이런 식이죠.

만약 1부터였다면, 

s(1) = 0, s(2) = 1, s(3) = 2, s(4) = 3 ... s(10) = 9

이렇게 되었겠죠.

배열이 0부터 시작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알아두세요.

 

 

[3]

예, 무방합니다.

최신기출문제 정도는 풀어보시는 것이 좋으므로, 홈페이지 [프리미엄 존] - [시험대비자료]에서 교재에 없는 2019년 최신기출문제를 다운받아 풀어보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19-11-11 09:52:3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아래쪽 배열의 목적을 기억하세요.

    a = {2, 4, 6, 8, 10}

    b = {1, 3}

    위와 같은 배열이 있을 때, b의 입력이 끝나면 (반복문 진입 전까지)

    c = {1, 2, 3}  과 같은 형태가 되어있을 것입니다.

    이때 a의 나머지 수를 차례대로 4, 6, 8, 10을 넣어줘야 하는데, a(t) - (이 때 t는 4의 위치를 가리키는 2를 저장하고 있겠죠.) - 를 반복적으로 저장하게 되면,

    c = {1, 2, 3, 4, 4, 4, 4} 가 되어 버립니다.

    t값부터 a배열의 마지막 수인 L까지 차례대로 증가하는 반복변수가 들어가야 적합하겠죠.

    즉, 반복 변수 p는 처음 t(2)의 값을 가지고, 2부터 L(5)까지, 2, 3, 4, 5로 증가하면서 수를 정상적으로 삽입하게 됩니다.

     

     

    [2]

    %10은 해당 수의 1의 자리를 구하기 위함입니다.

    1234의 %10은 4,

    이후 /10을 하여 m은 123을 만듭니다.

    %10은 3,

    이후 /10을 하여 m은 123을 만듭니다.

    %10은 2... 이런 식으로 각 자리수를 뽑는 방식의 알고리즘이죠.

     

    배열이 0부터 시작한다는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s(0) = 0 , s(1) = 1, s(2) = 2, s(3) = 3, s(4) = 4 .... s(9) = 9

    이런 식이죠.

    만약 1부터였다면, 

    s(1) = 0, s(2) = 1, s(3) = 2, s(4) = 3 ... s(10) = 9

    이렇게 되었겠죠.

    배열이 0부터 시작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알아두세요.

     

     

    [3]

    예, 무방합니다.

    최신기출문제 정도는 풀어보시는 것이 좋으므로, 홈페이지 [프리미엄 존] - [시험대비자료]에서 교재에 없는 2019년 최신기출문제를 다운받아 풀어보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