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문제를 풀때
빈칸을 먼저 채우고 디버깅을 해서 확인을 해야하는데
자꾸 디버깅 답안을 먼저보게됩니다
또, 디버깅 답안을 봐야만 빈칸이 이해가되는데
제가 비전공자에 독학중이라 이렇게 답이 생각이 안나는게 맞는건지
그냥 플로차트, 빈칸만 있으면 절대 뭐가들어가는지 유추해서 생각이안나요
위에 두칸이나 마지막칸은 생각하면 답을 유추할수잇는데 i=i+1 이라던지 출력전에 100항까지라하면 i<99 이런건 답안에 쓸수있습니다
조건이나 다른게 들어가는 경우는 빈칸을 아예 채우질 못하겟습니다
그런데 막상 답안을보면 아 이렇게되는구나 이해는되는데 계속해서 이렇게 답안보고 이해하며 공부할수는없고
직접 생각해서 답을 쓰고 틀렷는지 맞앗는지 확인하고싶은데
그냥 계속보고 또 보는 방법밖에는 없나요? 공부방식이 틀린건지 혼자 하려니 너무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증가값과 반복조건을 구할 수 있다면 이미 순서도의 반 이상을 제대로 학습하신 것입니다.
나머지 식을 구하지 못하는 것은 '알고리즘의 이해'가 완벽하지 않아 이것을 '순서도'에 녹여내는 과정이 막혀 발생하는 문제로 생각됩니다.
보통 <문제>에서 '우리는 무엇을 구할 것이고 이것을 순서도로 표현하였다' 라고 합니다. 그리고 <처리조건>에서 '순서도로 표현하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다' 라고 합니다.
이제 여기서 (컴퓨터적) 논리적인 사고가 필요합니다.
만약 진수변환 알고리즘이 들어가는 순서도라면,
1. 입력받은 수를 진수로 나누어서 나머지를 구하고 나머지를 배열 등에 저장하는 과정이 필요하겠네요.
2. 배열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매회 증가하는 반복변수가 있어야 하고,
3. 출력되는 형식에 따라 해당 배열 위치에 반복변수를 이용하여 나머지를 저장해야 합니다.
위와 같은 논리적인 과정이 순서도 내에 삽입되어야 된다는 것을 고려하시고 다시 한 번 살펴보세요.
기능사에서는 기존에 나왔던 순서도가 동일하게 출제되는 경우가 많으니 각 섹션의 알고리즘을 확실히 파악해두신 후, 빈 칸을 다시 한 번 채워보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9-09 14:00:2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증가값과 반복조건을 구할 수 있다면 이미 순서도의 반 이상을 제대로 학습하신 것입니다.
나머지 식을 구하지 못하는 것은 '알고리즘의 이해'가 완벽하지 않아 이것을 '순서도'에 녹여내는 과정이 막혀 발생하는 문제로 생각됩니다.
보통 <문제>에서 '우리는 무엇을 구할 것이고 이것을 순서도로 표현하였다' 라고 합니다. 그리고 <처리조건>에서 '순서도로 표현하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다' 라고 합니다.
이제 여기서 (컴퓨터적) 논리적인 사고가 필요합니다.
만약 진수변환 알고리즘이 들어가는 순서도라면,
1. 입력받은 수를 진수로 나누어서 나머지를 구하고 나머지를 배열 등에 저장하는 과정이 필요하겠네요.
2. 배열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매회 증가하는 반복변수가 있어야 하고,
3. 출력되는 형식에 따라 해당 배열 위치에 반복변수를 이용하여 나머지를 저장해야 합니다.
위와 같은 논리적인 과정이 순서도 내에 삽입되어야 된다는 것을 고려하시고 다시 한 번 살펴보세요.
기능사에서는 기존에 나왔던 순서도가 동일하게 출제되는 경우가 많으니 각 섹션의 알고리즘을 확실히 파악해두신 후, 빈 칸을 다시 한 번 채워보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