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tion9 에서 i와 j가 각각 0이면 a(i)가 2이면 m은 1인걸 알겟습니다
그러면 M이 배수를 99보다 작을때까지 한다음 위로올라가서
I=i+1 이면 i는 1이였으니까 1+1 2이고 j도 1+1 2 아닌가요?
디버깅을 잘몰라서
2-11까지의 정수를 입력받았을때 문제입니다
즉 i= 0 j=0 a(i)=2 m=1
다음이 왜 i가 1 j가 1 a(i)가 3으로 되어있는데 이게궁급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첫번째 질문을 전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ㅠ
변수 i는 배열의 위치를 지정하는 변수로 매 회전마다 1씩 증가하여 7~15번 과정을 반복합니다.
변수 j는 a[i]가 소수인 경우 1씩 증가하여 100까지의 총 소수의 개수가 저장되죠.
소수 여부는 순서도 10번에서 판단되며 소수인 경우 11번을 통해 j에 1을 누적합니다.
일반적으로 디버깅표는 변수가 변하는 값을 순서대로 적어서 기록합니다.
단순히 순서도 또는 코드에서 각 변수들의 값이 변할 때마다 값을 적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반복문의 한 회전 내에서 하나의 변수가 여러 번 변화하는 경우 특정 변수의 행만 길어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즉, a(i)가 3인 경우는 i가 2일 때 순서도 10번을 방문했을 때를 의미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9-06 10:40:2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첫번째 질문을 전혀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ㅠ
변수 i는 배열의 위치를 지정하는 변수로 매 회전마다 1씩 증가하여 7~15번 과정을 반복합니다.
변수 j는 a[i]가 소수인 경우 1씩 증가하여 100까지의 총 소수의 개수가 저장되죠.
소수 여부는 순서도 10번에서 판단되며 소수인 경우 11번을 통해 j에 1을 누적합니다.
일반적으로 디버깅표는 변수가 변하는 값을 순서대로 적어서 기록합니다.
단순히 순서도 또는 코드에서 각 변수들의 값이 변할 때마다 값을 적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반복문의 한 회전 내에서 하나의 변수가 여러 번 변화하는 경우 특정 변수의 행만 길어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즉, a(i)가 3인 경우는 i가 2일 때 순서도 10번을 방문했을 때를 의미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