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63p
도서
2019 시나공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페이지
63
조회수
205
작성일
2019-09-05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k가 3일때 J가 2인것은 이해합니다 그래서 MOD(K,J)를 하였을때 J+1 이되어 다음 부분으로 넘어가는거죠

근데왜 K가 4일때는 3인것입니까? 분명 K는 J위로 들어왓는데 바로 다음 부분은 J=2 인거아닙니까?

근데왜 3이죠,,.? K가 3일때랑 4일때 똑같이 MOD를 거쳣는데 왜 K만 3인겁니까.

 

그리고 k가 4일때 거쳐서 HAP=  HAP+K를 하엿을때 누적된수가 5인게 이해가지않습니다 

분명 뒤에 누적된수는 2이고 K=4를 더하면 2+4 6인데 왜 5인지알수없습니다. 

 A는 7일경우 입니다

답변
2019-09-05 10:24:27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일반적으로 디버깅표는 변수가 변하는 값을 순서대로 적어서 기록합니다.

단순히 순서도 또는 코드에서 각 변수들의 값이 변할 때마다 값을 적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반복문의 한 회전 내에서 하나의 변수가 여러 번 변화하는 경우 특정 변수의 행만 길어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즉, 해당 문제에서 k가 4일 때 j의 값은 4번째의 2가 되겠네요.

(k가 2일때 j값 변화 2 한번, k가 3일때 j값 변화 2,3 두번, k가 4일때 j값 변화 2 한번...)

 

간혹 이해를 돕기 위해 회전수에 맞춰 디버깅표에 선을 그어 끊어서 표기한 경우도 있으니, 디버깅표를 참고하실 때는 이를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19-09-05 10:24:27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일반적으로 디버깅표는 변수가 변하는 값을 순서대로 적어서 기록합니다.

    단순히 순서도 또는 코드에서 각 변수들의 값이 변할 때마다 값을 적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반복문의 한 회전 내에서 하나의 변수가 여러 번 변화하는 경우 특정 변수의 행만 길어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즉, 해당 문제에서 k가 4일 때 j의 값은 4번째의 2가 되겠네요.

    (k가 2일때 j값 변화 2 한번, k가 3일때 j값 변화 2,3 두번, k가 4일때 j값 변화 2 한번...)

     

    간혹 이해를 돕기 위해 회전수에 맞춰 디버깅표에 선을 그어 끊어서 표기한 경우도 있으니, 디버깅표를 참고하실 때는 이를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