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210
도서
2019 시나공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페이지
210
조회수
163
작성일
2019-08-10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5번보기 질문있는데요

 

답은 TM(k)=  PM(K)+TM(K)에요

 

궁금한건 처음 자료에 의해 pm에 화폐매수가 저장된값이 예를 들면 1 2 3 4 5 6 7 8 9 10에

                                                                         5 2 1 4 5 1 0 0 0 0 이라고 하면(의미없는예시)

첫자료의 화폐매수를 tm에 저장하고 다음 자료를 입력받아 자료가 있다면 위와 같이 개인의 화폐 매수를 구해 전체인 tm에 누적계산을 하는 방식이라고 정답지를 보고

이해했는데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그렇다면 tm(k)+pm(k) 가 아닌 pm(k)+tm(k) 이유가 뭔가요?? 보통 누적계산을 할때 i= i+1 처럼 tm(k)= tm(k)+ pm(k) 이렇게 되어야 되는거 아닌가요? 아니면 상관없는건가요?

         전체 + 개인           개인 + 전체                                                        전체= 전체 + 개인

답변
2019-08-12 14:38:4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예, 정확하고 이해하고 계십니다.

배열 tm은 각 화폐매수를 환산하여 저장하고 있는 배열 pm의 값들을 그대로 누적하는 역할을 합니다.

 

tm(k) = pm(k) + tm(k) 와

tm(k) = tm(k) + pm(k) 는 완전히 동일합니다. 

 

아래와 같은 단순 수학식이 그대로 적용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5 = 2 + 3 

5 = 3 + 2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19-08-12 14:38:4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예, 정확하고 이해하고 계십니다.

    배열 tm은 각 화폐매수를 환산하여 저장하고 있는 배열 pm의 값들을 그대로 누적하는 역할을 합니다.

     

    tm(k) = pm(k) + tm(k) 와

    tm(k) = tm(k) + pm(k) 는 완전히 동일합니다. 

     

    아래와 같은 단순 수학식이 그대로 적용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5 = 2 + 3 

    5 = 3 + 2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