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PAGE 소인수분해 4번 답안 몫이 1인 것을 구하는 것에서 4번과 5번이 뜻하는 게 뭔가요
1.마름모 n=1이라고 나와 있는데요
소인수분해에서 찾으려는 값은 1이 안되지 않나요
2.마름모는 같다를 의미한다고 책에 적혀있는데
만약 이게 몫이 1인 것을 찾는다고 치환을 가정한다면 마름모가 아니라 그냥 변수로 나타내야하지 않나요?
3.4번 5번 정답이 n=1 c=1이라고 되어있는데 95페이지 표에는 n이 1일 때 c는 4로 되어있습니다.
어떤 게 맞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32를 소인수 분해한다고 생각해보세요.
(별책 95쪽 디버깅표 참고)
3번 빈칸의 "n=n/l"를 통해 2로 2번, 3으로 1번, 11로 1번 나눠지고 나면 n은 소인수 분해가 모두 종료되어 마지막에 1의 값을 가지게 됩니다.
즉, 4번 n=1은 소인수 분해가 종료되었음을 판단하는 조건문이 되죠.
그렇다면 5번 c=1은 무엇일까요. mod(n,k)를 통해 n이 나눠지는 수가 단 하나만 존재할 때 입니다.
나눠지는 수가 있을 때마다 "c=c+1"을 수행하여 c는 1씩 증가합니다.
이때 c가 1밖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는 결국 11과 같이 1과 자기 수(11) 외에는 나눠지는 수가 없는 소수라는 의미죠.
(1이 빠지는 이유는 나눠지는수 k가 2부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1]로 질문하신 것은 위에서 답이 된 것 같네요.
[2]는 무언가 잘못이해하시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마름모는 단순히 해당 위치의 식이 '조건'을 의미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마름모 내에 n>3이 있다면 n이 3보다 큰 경우 yes로 가고, 아니면 no로 가라는 말이죠.
비슷하게 n=3이 있다면 이것은 n에 3을 저장하라는 의미가 아닌 n이 3인 경우 yes로, 아니면 no로 가라는 의미가 되죠.
만약 교재에 이것과 다른 해설이 달린 부분이 있다면 제보해주시면 즉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3]
마름모가 조건을 의미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살펴보세요.
132는 빈칸 2, 3번이 포함된 사각형을 4회 수행하며, n에 1이 저장될 때 c는 4의 값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이 때 c=1이 거짓이므로 No로 움직여 반복문 y를 수행하게 되죠.
질문하신 것과 조금 다르지만 먼저 디버깅표에 대해서 설명드리자면,
디버깅표는 단순히 값이 변화하는 것을 나열한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특정 변수의 변화값에 맞춰 다른 변수들도 줄을 맞춰 적는 것 또한 가능하지만 그렇게 디버깅표를 작성하면 너무 많은 공간을 낭비하게 됩니다.
해당 디버깅표에서 n이 1일때 c가 4로 맞춰진 것은 단순히 변수 변화가 동일한 시점에 수행되기 때문에 자동으로 맞춰진 것일 뿐입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나, 추가적인 해설이 필요하신 경우 해당부분을 구체적으로 질문해주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8-02 11:12:4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32를 소인수 분해한다고 생각해보세요.
(별책 95쪽 디버깅표 참고)
3번 빈칸의 "n=n/l"를 통해 2로 2번, 3으로 1번, 11로 1번 나눠지고 나면 n은 소인수 분해가 모두 종료되어 마지막에 1의 값을 가지게 됩니다.
즉, 4번 n=1은 소인수 분해가 종료되었음을 판단하는 조건문이 되죠.
그렇다면 5번 c=1은 무엇일까요. mod(n,k)를 통해 n이 나눠지는 수가 단 하나만 존재할 때 입니다.
나눠지는 수가 있을 때마다 "c=c+1"을 수행하여 c는 1씩 증가합니다.
이때 c가 1밖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는 결국 11과 같이 1과 자기 수(11) 외에는 나눠지는 수가 없는 소수라는 의미죠.
(1이 빠지는 이유는 나눠지는수 k가 2부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1]로 질문하신 것은 위에서 답이 된 것 같네요.
[2]는 무언가 잘못이해하시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마름모는 단순히 해당 위치의 식이 '조건'을 의미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마름모 내에 n>3이 있다면 n이 3보다 큰 경우 yes로 가고, 아니면 no로 가라는 말이죠.
비슷하게 n=3이 있다면 이것은 n에 3을 저장하라는 의미가 아닌 n이 3인 경우 yes로, 아니면 no로 가라는 의미가 되죠.
만약 교재에 이것과 다른 해설이 달린 부분이 있다면 제보해주시면 즉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3]
마름모가 조건을 의미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살펴보세요.
132는 빈칸 2, 3번이 포함된 사각형을 4회 수행하며, n에 1이 저장될 때 c는 4의 값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이 때 c=1이 거짓이므로 No로 움직여 반복문 y를 수행하게 되죠.
질문하신 것과 조금 다르지만 먼저 디버깅표에 대해서 설명드리자면,
디버깅표는 단순히 값이 변화하는 것을 나열한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특정 변수의 변화값에 맞춰 다른 변수들도 줄을 맞춰 적는 것 또한 가능하지만 그렇게 디버깅표를 작성하면 너무 많은 공간을 낭비하게 됩니다.
해당 디버깅표에서 n이 1일때 c가 4로 맞춰진 것은 단순히 변수 변화가 동일한 시점에 수행되기 때문에 자동으로 맞춰진 것일 뿐입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나, 추가적인 해설이 필요하신 경우 해당부분을 구체적으로 질문해주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