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loat a = 123456789.0e-5f;
System.out.printf("%f %e \n", a, a);
}
}
결과는 1234.567871 1.234568e+03 인데
첫번째거는 5번째 전까지 실수형으로 출력해라는 의미인것 같은데
두번재 출력은 잘 이해안가네요.
왜 7은 빠진것이며.. 너무 헷갈려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float a = 123456789.0e-5f;
%f, %e와 같이 소수점 자리수가 없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소수점 자리수는 6자리까지 지수부는 2자리가 표시됩니다.
그러므로 %f로 출력하면 1234.567890으로 표시되어야 하는데, 지수를 실수로 표현할 때 부족한 자리수 변환 시 정규화 과정의 오차로 인해 예상과 다른 값이 표시됩니다.
이로 인해 예상과 다른 결과가 표시되도록 자리수가 부족한 표현은 시험에 출제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니 적용 원리에 맞는 형태만 파악해 두세요.
%e로 출력하면
e는 정수 부분을 1자리만 출력하므로 1.234568 이 됩니다.
역시 소수점 마지막 6째 자리(8)는 7째 자리에서 반올림 된 것이고 1.234568 은 원래의 값 1234.56789에서 소수점 위치가 왼쪽으로 3자리 이동했으므로 e+3입니다. 위에서 지수부는 2자리로 표시한다고 하였으므로 e+03으로 표현하여 1.234568e+03으로 출력이 되는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관리자2019-06-25 14:06:56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float a = 123456789.0e-5f;
%f, %e와 같이 소수점 자리수가 없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소수점 자리수는 6자리까지 지수부는 2자리가 표시됩니다.
그러므로 %f로 출력하면 1234.567890으로 표시되어야 하는데, 지수를 실수로 표현할 때 부족한 자리수 변환 시 정규화 과정의 오차로 인해 예상과 다른 값이 표시됩니다.
이로 인해 예상과 다른 결과가 표시되도록 자리수가 부족한 표현은 시험에 출제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니 적용 원리에 맞는 형태만 파악해 두세요.
%e로 출력하면
e는 정수 부분을 1자리만 출력하므로 1.234568 이 됩니다.
역시 소수점 마지막 6째 자리(8)는 7째 자리에서 반올림 된 것이고 1.234568 은 원래의 값 1234.56789에서 소수점 위치가 왼쪽으로 3자리 이동했으므로 e+3입니다. 위에서 지수부는 2자리로 표시한다고 하였으므로 e+03으로 표현하여 1.234568e+03으로 출력이 되는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