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기출문제집 p 45,46 질문드립니다
도서
2019 시나공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페이지
45,46
조회수
264
작성일
2019-05-08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p45페이지에 있는 알고리즘을 답을 다넣어서 디버깅을 정답과 같이 해보았습니다

제가 한 디버깅은 다음과 같습니다 M=1234

 K

 i

(i+1)%4 

S(i)=A(K) 

 0

1234

1

 S(0)=A(4)

 4

 1

123 

 S(1)=A(3)

 3

 2

12 

 S(2)=A(2)

 2

 3

1

S(3)=, 

 1

 4

 

S(4)=A(1) 

 

 5

 

 

 

 

  4 

 

 

 

 

 3

 

 

 

 

 2

 

 

 

 

 1

 

 

 

 

 0

 

 

 

 

1. 답안에 나와 있는  디버깅은 i가 6까지 나와있는데 왜 그렇게 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2. S(0)=A(4) 이 나온다는것은 S배열의 시작이 0부터 시작한다는 뜻인데  앞서 처리조건에서 배열은 0부터 시작한다는 조건 때문에 이런경우에는 배열의 시작이 1이 아닌 0이 될수있는지가 궁금합니다 

답변
2019-05-09 11:45:3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먼저 오탈로 인해 학습에 불편을 드려 사과드립니다.

확인해 본 결과 변수 i는 5까지 수행되는 것이 맞습니다.

해당 사항은 즉시 수정하여, 정오표로 반영토록 하겠습니다.

 

[2]

예, 가능합니다.

기능사 시험에서 <처리 조건>으로 언급되는 사항들은 최우선으로 고려하셔야 합니다.

이 문제처럼 몇몇 문제들은 배열의 인자를 0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고려치 않으면 잘못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배열의 시작 인자에 대한 언급이 없으면 (1)부터 라는 것.

시작 인자가 0부터라고 언급이 있어야만 (0)부터 라는 것을 염두해 두세요.

 

(참고로 디버깅표에서 i의 값이 4일 경우 (i+1)%4 의 값이 누락되었으며, i는 마지막 값으로 -1을 가집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19-05-09 11:45:3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먼저 오탈로 인해 학습에 불편을 드려 사과드립니다.

    확인해 본 결과 변수 i는 5까지 수행되는 것이 맞습니다.

    해당 사항은 즉시 수정하여, 정오표로 반영토록 하겠습니다.

     

    [2]

    예, 가능합니다.

    기능사 시험에서 <처리 조건>으로 언급되는 사항들은 최우선으로 고려하셔야 합니다.

    이 문제처럼 몇몇 문제들은 배열의 인자를 0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고려치 않으면 잘못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배열의 시작 인자에 대한 언급이 없으면 (1)부터 라는 것.

    시작 인자가 0부터라고 언급이 있어야만 (0)부터 라는 것을 염두해 두세요.

     

    (참고로 디버깅표에서 i의 값이 4일 경우 (i+1)%4 의 값이 누락되었으며, i는 마지막 값으로 -1을 가집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19-05-10 10:38:4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예, 맞습니다.

    i가 3으로 조건문 (i+1)%4를 참으로 수행하는 경우 i에 1을 누적하는 연산이 두 번 있어서 (i+1)%4 조건문에 i가 4의 값을 가진채 도달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없게 되네요.

     

    세심히 살펴보지 않고 잘못된 답변을 드린 것에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이후 답변시 좀 더 주의깊게 답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
    2019-05-09 22:58:22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답변중에

    참고로 디버깅표에서 i의 값이 4일 경우 (i+1)%4 의 값이 누락되었으며 라고 답변해주셨는데요

    i=4가 되고 그다음 K=M%10, S(i)=A(K), M=M/10을 통해 M은 0의 값을 같게 되고 그다음i=i+1로써 5의 값을 같게 됩니다 그런데 다시 M=0 이라는 구문에서 no 가 아닌 yes방향으로 가기 떄문에 (i+1)%4의값이 0 다음에 1이 나오는것을 이해가 안됩니다 확인 부탁 드리겠습니다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