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페이지에 나와있는 수열에서는 변수의 초기값을 무조건 증가값 0, 첫번째항 1, 합계 1 로 설정해야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이 변수의 초기값을 각 알고리즘마다 외워놔야하는것인지 아니면 순서도에 직접 하나씩 대입하며 찾아야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바로 옆인 39페이지의 순서도에는 변수의 초기값들이 전부 다 0인데, 비슷한 두 순서도에서 변수의 초기값이 왜 차이가 나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알고리즘 마다 외울 수는 없습니다. 이 경우 해당 알고리즘이 조금만 변형되도 값을 찾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죠.
먼저 각 변수들의 역할을 확인하세요.
다음 순서도에서 빈칸이 아닌 것들을 파악하세요. 38쪽에서는 i가 0이라는 것, 반복구문 5~8이 알고리즘 구현부라는 것 정도가 있겠네요.
i는 증가값이고 5번을 통해 1이 되겠죠.
6번에서 항이 되는 J에 i가 더해져야 하니 J의 값은 무엇이 되야할지 예측해보세요. 수열상 1이 더해지는 항은 1입니다. 즉 J의 초기값은 1이 되는 것이죠.
K의 값 또한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구합니다. 1이 더해진 J, 즉 2가 더해지는 합의 초기값은 1이 되어야 합니다. 수열의 진행 상 2가 더해졌을 때 3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죠.
수열이 아직 어색해서 논리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난해할 수 있습니다.
교재 37쪽의 수열을 분해한 그림(화살표로 표현한)을 참고하셔서, 다시 한 번 순서도를 파악해 보세요.
39쪽의 순서도 또한 이와 같은 원리로 파악하면 각 변수가 몇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도출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4-24 10:21:03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알고리즘 마다 외울 수는 없습니다. 이 경우 해당 알고리즘이 조금만 변형되도 값을 찾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죠.
먼저 각 변수들의 역할을 확인하세요.
다음 순서도에서 빈칸이 아닌 것들을 파악하세요. 38쪽에서는 i가 0이라는 것, 반복구문 5~8이 알고리즘 구현부라는 것 정도가 있겠네요.
i는 증가값이고 5번을 통해 1이 되겠죠.
6번에서 항이 되는 J에 i가 더해져야 하니 J의 값은 무엇이 되야할지 예측해보세요. 수열상 1이 더해지는 항은 1입니다. 즉 J의 초기값은 1이 되는 것이죠.
K의 값 또한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구합니다. 1이 더해진 J, 즉 2가 더해지는 합의 초기값은 1이 되어야 합니다. 수열의 진행 상 2가 더해졌을 때 3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죠.
수열이 아직 어색해서 논리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난해할 수 있습니다.
교재 37쪽의 수열을 분해한 그림(화살표로 표현한)을 참고하셔서, 다시 한 번 순서도를 파악해 보세요.
39쪽의 순서도 또한 이와 같은 원리로 파악하면 각 변수가 몇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도출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