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설명을 보아도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순서도옆의 설명에 "첫 번째 항의 값을 합계를 누적할 k에 초기 값으로 치환하여 이미 계산된 것으로 처리했기 때문에 첫 번째 항을 제외한 19개의 항을 더하기 위해 i를 19까지만 증가시킨 것입니다." 라고 나와있는데 이말의 뜻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조금 더 쉽게 설명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K가 1에서 시작한다는 것의 주의를 기울이시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섹션004의 수열은 1+2+4+7 ... 이렇게 시작합니다.
변수 K는 이 수열을 차례대로 합한 값을 저장하고 있죠.
순서도 5~7번의 알고리즘이 반복되면 항이 수열에 맞게 증가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K가 반복문(순서도 5~8번)에 들어가기 전에 첫번째 항(1)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반복문은 2번째 항부터 20번째 항까지 반복하는 총 19회가 반복되어야 합니다.
때문에 반복을 제어하는 변수 i는 총 19까지만 수행되도록 <19 조건을 걸게 되는 것이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4-24 10:04:5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K가 1에서 시작한다는 것의 주의를 기울이시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섹션004의 수열은 1+2+4+7 ... 이렇게 시작합니다.
변수 K는 이 수열을 차례대로 합한 값을 저장하고 있죠.
순서도 5~7번의 알고리즘이 반복되면 항이 수열에 맞게 증가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K가 반복문(순서도 5~8번)에 들어가기 전에 첫번째 항(1)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반복문은 2번째 항부터 20번째 항까지 반복하는 총 19회가 반복되어야 합니다.
때문에 반복을 제어하는 변수 i는 총 19까지만 수행되도록 <19 조건을 걸게 되는 것이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