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차트를 풀고 디버깅을 다 하였는데요. 근데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디버깅표를 보시면
' ' '
' ' '
' ' '
98 4851 yes
99 4950 no
100 5050
마지막이 이런식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출력엔 100과 5050이 나옵니다.
여기서 궁금한 것이, i가 99일때는 아직 i<100 인 상태기 때문에 오른쪽에 yes가 들어가야하는것이 아닌가요? 그리고 i가 100이되었을때 오른쪽에 no를 입력하는줄 알았는데
제 생각과 달라서 궁금합니다.
그리고 기출문제집의 14페이지의 문제에서는 no가 제생각대로 마지막에 잘 들어간것 같은데 두문제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일반적으로 디버깅표를 작성하는 것은 단순한 변수값 변화의 나열에 지나지 않습니다.
다만 순서도마다 조금 달라질 수 있는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해 순서도나 코드 내의 반복문이 있다면 해당 반복문의 회전수에 맞춰서 열을 맞춰준다거나 하는 것이 있겠죠.
또한 변수에 값을 치환하는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적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해서 디버깅표를 대조해보세요.
해당 문제의 경우 2번 순서도에서 i와 j에 초기값으로 0을 주는 프로세스가 존재하여 한줄 씩 밀린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4-23 10:06:0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일반적으로 디버깅표를 작성하는 것은 단순한 변수값 변화의 나열에 지나지 않습니다.
다만 순서도마다 조금 달라질 수 있는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해 순서도나 코드 내의 반복문이 있다면 해당 반복문의 회전수에 맞춰서 열을 맞춰준다거나 하는 것이 있겠죠.
또한 변수에 값을 치환하는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적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해서 디버깅표를 대조해보세요.
해당 문제의 경우 2번 순서도에서 i와 j에 초기값으로 0을 주는 프로세스가 존재하여 한줄 씩 밀린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