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집 14페이지에서 1+2+3+4+5+6+7의 디버깅에 관한 설명을 할때에는
i j i<7
5 15 yes
6 21 yes
7 28 no
이렇게 설명을해서 i가 7까지 가서야 i<7이 no가되던데
113페이지에서 동일한유형인 1부터100까지더하는 순서도를 작성할때에는
i j i<100
97 4753 yes
98 4851 yes
99 4950 no
100 5050
이렇게되는데 100이아니라 99에서 갑자기 왜 i<100이 no가 되는지모르겠습니다.
99에서 no가 되어버려서 i,j를 출력하고끝내면 마지막 100을더하는 연산은 빠지게되는거아닌가요?
왜 7까지더하는 순서도와 100까지더하는 순서도의 디버깅이 서로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디버깅표를 설명드릴 때 가능한 이해가 쉽도록 회전 수에 맞춰 각 줄에 변수값의 변화를 적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디버깅표는 변수가 변하는 값을 순서대로 적어서 기록합니다.
단순히 순서도 또는 코드에서 각 변수들의 값이 변할 때마다 값을 적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회전수에 맞춰 항상 줄이 맞는 경우는 적습니다.
113페이지의 디버깅표도 동일합니다.
14페이지의 줄을 모두 삭제하고 줄을 맨 위부터 정렬해 보세요.
동일하게 NO는 한줄 위로 올라갈 것이고, 출력 또한 맨 위로 올라가게 되어 동일한 형태로 변화할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3-20 10:28:2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디버깅표를 설명드릴 때 가능한 이해가 쉽도록 회전 수에 맞춰 각 줄에 변수값의 변화를 적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디버깅표는 변수가 변하는 값을 순서대로 적어서 기록합니다.
단순히 순서도 또는 코드에서 각 변수들의 값이 변할 때마다 값을 적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회전수에 맞춰 항상 줄이 맞는 경우는 적습니다.
113페이지의 디버깅표도 동일합니다.
14페이지의 줄을 모두 삭제하고 줄을 맨 위부터 정렬해 보세요.
동일하게 NO는 한줄 위로 올라갈 것이고, 출력 또한 맨 위로 올라가게 되어 동일한 형태로 변화할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