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쪽에 보기 4번 원래 답이 J = J + 1인데 어차피 J=5에서 끊겨서 +1하면 6만 나올텐데 그럼 보기 4번 답을 그냥 6이라고 써도 맞는건가요?
180쪽에 보기 1번 처음에 CNT값을 2로 초기화 시키는데 2로 초기화 시키면 첫번째 회전할때 왼쪽 반복문에서 안에 있는 반복문은 Q = 2,2,1이고 P값이 5, 두번째 회전할때는 Q = 2,3,1이고 P값이 7인데 각각 Q = 2 가지고 5가 소수인지 판별 할 수 있나요? 마찬가지로 겨우 Q = 2 하고 3 두개 가지고 7이 소수인지 판별할 수 있나요?
어떤 방식으로 소수인지 판별하는거죠? 나눠지는 수 자기 자신과 1을 제외하고 나머지가 0으로 만들 수 있는 수가 없으면 그 수는 소수가 되는건가요? 만약 그렇다면 바로 위에서 질문드린것과 같이 겨우 1개 또는 2개 또는 3개(CNT = CNT + 1이므로 1씩 증가하는 갯수로) 이 숫자들로만 어떻게 소수인지 판별하는거죠 나눠지는수 -1 전까지 다 판별해봐야 하는거 아닌가요?
262쪽에 문제 2번, 답이 카티널리티인데 만약 시험에 이 문제가 나온다면 답을 카디널리티 말고도 기수 또는 대응수라고 써도 맞는건가요?
그리고 시험볼때 궁금한게 있는데, 알고리즘과 전산영어 제외한 2,3 과목에서 문제나올때 보통 영어로 쓰라고 나오나요 아니면 한글로 쓰라고 나오나요 아니면 한글 또는 영어인가요? 데이터베이스 하고 신기술 외울때 한글하고 영어도 무조건 같이 외워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73]
예, 맞습니다.
해당 프로세스에 도착할 시 J는 5의 값을 가지며, +1을 해도, 6으로 치환해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둘 모두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180]
소수를 판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해당 문제에서는 소수를 판별하는 방법 중,
- 자신 보다 작은 수의 소수로 나눠본 후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소수
를 통해 소수로 판별한 것입니다.
반복문 q에서 tmp[q]로 해당 알고리즘을 수행하죠. (자신의 수보다 낮은 소수로 나머지 구함)
tmp(1)=2가 제외된 이유는 밖의 반복문 p가 5에서 2씩 증가하기 때문에 짝수가 나올 수 없으므로 tmp(1)을 제외한 것입니다.
[262]
예, 맞습니다.
다만 '대응수'는 넓은 범위로는 카디널리티 이외에 다른 것을 지칭하기도 하니 가능하면,
카디널리티 또는 기수로 적어주세요.
[추가]
가능한 한글과 영어 약어, 풀네임을 함께 암기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답에 따라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답 필기 방법이 다릅니다.
실기 기출문제를 참고하여 각 문제가 어떤식으로 출제되는지 익혀두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3-18 13:28:2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73]
예, 맞습니다.
해당 프로세스에 도착할 시 J는 5의 값을 가지며, +1을 해도, 6으로 치환해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둘 모두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180]
소수를 판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해당 문제에서는 소수를 판별하는 방법 중,
- 자신 보다 작은 수의 소수로 나눠본 후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소수
를 통해 소수로 판별한 것입니다.
반복문 q에서 tmp[q]로 해당 알고리즘을 수행하죠. (자신의 수보다 낮은 소수로 나머지 구함)
tmp(1)=2가 제외된 이유는 밖의 반복문 p가 5에서 2씩 증가하기 때문에 짝수가 나올 수 없으므로 tmp(1)을 제외한 것입니다.
[262]
예, 맞습니다.
다만 '대응수'는 넓은 범위로는 카디널리티 이외에 다른 것을 지칭하기도 하니 가능하면,
카디널리티 또는 기수로 적어주세요.
[추가]
가능한 한글과 영어 약어, 풀네임을 함께 암기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답에 따라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답 필기 방법이 다릅니다.
실기 기출문제를 참고하여 각 문제가 어떤식으로 출제되는지 익혀두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