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있는 도서: 2018 시나공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1. 1과목 / 초반부 함수관련에서는 MOD(A,B) 라는 형식으로 쓴다고 나오던데 문제를 보니까 A mod B로 적은 것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써도 괜찮은건가요?
2. 2,3과목 / 영어나 한글 지문에서 답도 문제와 같이 영어, 한글을 맞춰서 적어야 하나요?
아니면 그냥 아무거나 써도 상관없나요?
예를 들어 영어 지문에 한글로 답을 적는다거나, 한글 지문에 영어로 답을 한다거나..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예, MOD의 사용법에는 책에서 나온 것과 같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MOD(A, B) 형태와 A MOD B 형태인데, 시험에 출제될 경우 <처리 조건>에서 어떤 방식의 MOD를 사용할 것인지 미리 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순서도에 사용된 MOD 방식을 참고하여 작성하시면 됩니다.
2. 기출문제를 접해보시면 아시겠으나, 기능사의 경우 대부분 어떤 형식으로 답을 적어야 하는지 문제에서 제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지 않은 경우 한글, 영어 약어, 영어 풀네임 중 어떤 것을 사용하여 적으셔도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다만 전산 영어 파트의 문제의 경우 어떤 형식으로 답을 적으라고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도 한글 답 보다는 영어 약어 또는 영어 풀네임의 답안을 적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관리자2018-12-10 10:37:51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예, MOD의 사용법에는 책에서 나온 것과 같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MOD(A, B) 형태와 A MOD B 형태인데, 시험에 출제될 경우 <처리 조건>에서 어떤 방식의 MOD를 사용할 것인지 미리 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순서도에 사용된 MOD 방식을 참고하여 작성하시면 됩니다.
2. 기출문제를 접해보시면 아시겠으나, 기능사의 경우 대부분 어떤 형식으로 답을 적어야 하는지 문제에서 제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지 않은 경우 한글, 영어 약어, 영어 풀네임 중 어떤 것을 사용하여 적으셔도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다만 전산 영어 파트의 문제의 경우 어떤 형식으로 답을 적으라고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도 한글 답 보다는 영어 약어 또는 영어 풀네임의 답안을 적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