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능사 실기책 194쪽에 반복문에서 B(i+2)= B(i+2)+A(i)이렇게 나와있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일단 답지에서 자리올림수를 위해서 제일 앞에 한자리만 남겨 놓았는데, 이렇게 하려면 B(i+1)이렇게 나와야 하지 않나요?? 그리고 3번 괄호 채우기 보기에서도 B(1)=0이라고 나오는데, 이것도 답을 제가 B(2)=0이렇게 썻다가 틀렸네요.. 설명좀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문제에서 100건 이내의 12자리로 구성된 숫자를 더한다는 조건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999999999999가 100건이 입력된다고 가정하면 더해진 값은
99999999999900이 되므로 기존보다 2자리가 많아집니다. 이를 감안하여 자리올림수 발생을 두 자리까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더해진 값이 저장되는 배열인 B 배열에서
B(1)과 B(2)는 올림수가 저장되는 위치입니다.
B(1)이 0이라는 것은 더해진 값에 첫째자리까지는 올림수가 없다는 것이므로 둘째자리부터 출력을 하면 됩니다.
물론
B(1) = 0으로 Yes일 때 J =2, No일 때 J = 1로 하든
B(2) <> 0 으로 Yes일때 J = 2, No일 때 J = 1로 하든 동일한 결과가 산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5-02 09:21:54
안녕하세요.
문제에서 100건 이내의 12자리로 구성된 숫자를 더한다는 조건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999999999999가 100건이 입력된다고 가정하면 더해진 값은
99999999999900이 되므로 기존보다 2자리가 많아집니다. 이를 감안하여 자리올림수 발생을 두 자리까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더해진 값이 저장되는 배열인 B 배열에서
B(1)과 B(2)는 올림수가 저장되는 위치입니다.
B(1)이 0이라는 것은 더해진 값에 첫째자리까지는 올림수가 없다는 것이므로 둘째자리부터 출력을 하면 됩니다.
물론
B(1) = 0으로 Yes일 때 J =2, No일 때 J = 1로 하든
B(2) <> 0 으로 Yes일때 J = 2, No일 때 J = 1로 하든 동일한 결과가 산출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