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02에 2번,3번문제에서
2: i=DONG 와 3: J=INT(NAI/10)+1
해도 상관없나요? (이 과정에서 검은색11~13번의 ROW와 COL은 I와 J로 치환)
왜 굳이 COL과 ROW를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제시된 변수에 COL과 ROW가 있어서 사용하는거라면 제시가 안돼있을때는 써도 상관없나요?
p205에서 자료는 어차피 한개뿐인데 FLAG변수를 굳이 사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의미를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검은색3번에서 마지막 자료를 불러온 후에는 알아서 자료가 없는걸 알고 EOF가 뜨나요?
안녕하세요.
1)
변수 i와 j는 반복문 안에서만 값이 증가되면서 변화합니다.
그러므로 괄호 2, 3번에 i와 j 변수를 사용하면 그값은
i는 12, j는 9로 고정된 값으로만 적용되므로 결과가 다르게 산출됩니다.
만일 i와 j를 row나 col 대신 2, 3번에 사용한다면 그 이후 배열에서
A(ROW, COL)과 같은 수식을 A(i, J)로 변경해야 합니다.
2)
교재와 같이 처리하지 않고 처음에 처리되는 값을 처리한 후 그 이후 값들을 반복해도 됩니다.
즉
값을 입력하고 처음 처리할 과정을 수행합니다.
그런 다음 다른 위치에서 다시 입력받고 그 다음 처리를 반복하여 수행합니다.
이런 경우 입력받는 과정을 처음과 이후를 구분해서 처리하면 됩니다.
문제를 처리하는 과정은 고정된 것이 아닙니다.
실기 시험이 어려운 이유는 문제를 내 마음대로 구성하여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순서도가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지 파악한 후 빈 곳을 채워야 하기 때문에
먼저 순서도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것입니다.
3)
파일의 끝을 읽으면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자동으로 EOF로 약속된 값이 읽혀 옵니다. 그것을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4-30 10:34:11
안녕하세요.
1)
변수 i와 j는 반복문 안에서만 값이 증가되면서 변화합니다.
그러므로 괄호 2, 3번에 i와 j 변수를 사용하면 그값은
i는 12, j는 9로 고정된 값으로만 적용되므로 결과가 다르게 산출됩니다.
만일 i와 j를 row나 col 대신 2, 3번에 사용한다면 그 이후 배열에서
A(ROW, COL)과 같은 수식을 A(i, J)로 변경해야 합니다.
2)
교재와 같이 처리하지 않고 처음에 처리되는 값을 처리한 후 그 이후 값들을 반복해도 됩니다.
즉
값을 입력하고 처음 처리할 과정을 수행합니다.
그런 다음 다른 위치에서 다시 입력받고 그 다음 처리를 반복하여 수행합니다.
이런 경우 입력받는 과정을 처음과 이후를 구분해서 처리하면 됩니다.
문제를 처리하는 과정은 고정된 것이 아닙니다.
실기 시험이 어려운 이유는 문제를 내 마음대로 구성하여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순서도가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지 파악한 후 빈 곳을 채워야 하기 때문에
먼저 순서도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것입니다.
3)
파일의 끝을 읽으면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자동으로 EOF로 약속된 값이 읽혀 옵니다. 그것을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