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239 (1)
우선 239페이지에 기출 따라잡기문제 (1)를 보면 답이 '스키마'인데 저는 '개념 스키마'라고 적었습니다.
'개념 스키마'로 답을 적었을 경우 오답인가요?
2. p239 (4)
책으로 배웠을때 자료(데이터) 사전을 메타 데이터라고도 한다. 또는 시스템 카탈로그라고도 한다. 라고 되어있는데
메타 데이터랑 시스템 카탈로그 그리고 자료사전은 각각 조금씩 의미가 틀리지않나요? 근데 왜 ~라고도 한다. 라고 되어 있는거죠??
3개의 차이점이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239페이지 (4)의 답에다가 '메타데이타'가 아니라 '데이터 사전' 이라 적으면 오답인가요?
3. p318 (4)
<고객관리> 테이블의 모든 레코드를 삭제하려고 할때 알맞은 명령문을 쓰는 문제인데
Delete문을 써야하는 것은 알겠습니다. 그리고 Delete 구문형식은 Delete ~ From ~ Where ~ 인 것도 이해합니다.
그런데 모든 속성을 검색할때 Select 문에는 *를 붙여주는데
모든 레코드를 삭제할때 Delete 뒤에다가 *를 써주면 안되는건가요?
저는
4. p225 모의고사 7회
주차 요금 합계를 계산하는 알고리즘 문제인데..
1번 답란에 정답은
제가 적은 답
그리고 이 문제를 통해 표현방법이 조금 달라도 디버깅했을때 결과만 일치한다면 답안인정이 가능한가요?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그 외)
데이터베이스 설계순서 문제에서 정답이 < 구현 > 인데 저의 답은 <데이터베이스 구현> 이라던가
튜플의 개수에 대한 정답이 <카디널리티>인데 똑같은 의미인 <기수> 나 <대응수>는 틀린 답인가요?
또한
'실제시험에서 문제의 지문에 한글이나 영문, 영문 약어 등의 문자로 답안을 작성하라는 내용이 제시된 경우 반드시 제시된 문자로 답안을 작성해야 합니다'라고 적혀있는데
시나공 교재에 있는 대부분의 모의고사들은 영문이나 영문약어로 쓰라는 조건이 없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조건을 제시해주나요? 그리고 보통 한글로 쓰라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1)
문제를 출제한 시행처의 의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키마를 개념스키마라고 하기도 하지만 채점에서 최대한 불이익이 없으려면
스키마의 종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조건들이 제시되지 않고 일반적인 스키마의 특징만 제시된다면 스키마라고만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2)
( )은(는)‘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즉 실제 저장되는 데이터는 아니지만, 저장되는 데이터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즉 무슨 데이터인지를 묻고 있으므로 메타 데이터라고 하는 것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가장 정확한 답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Delete * From 테이블명
으로 작성해도 동일합니다.
하지만 Delete는 특정 속성만을 선택적으로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레코드 단위로 무조건 삭제이므로
항상 속성을 지정할 때 *을 기본으로 합니다. 그래서 생략하는 것이죠.
4)
특정 변수를 사용하라는 별도의 조건이 없다면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는 답안을 맞게 채점됩니다.
5)
답안 작성 시
데이터베이스의 ( ) 라고 제시된다면 구현이 맞겠지만
단순히 괄호만 제시된다면 데이터베이스 구현도 맞을 수 있으며
카디널리티, 기수, 대응수와 같이 같은 의미의 다른 표현도 맞게 채점됩니다.
문제에서 답안 작성 시 영문, 한글, 약어 등의 표현이 없으면 어느 것으로 작성해도 관계가 없습니다.
하지만 작성 방법이 제시된 경우 제시된 방법으로 작성된 답안만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4-23 09:33:34
안녕하세요.
1)
문제를 출제한 시행처의 의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키마를 개념스키마라고 하기도 하지만 채점에서 최대한 불이익이 없으려면
스키마의 종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조건들이 제시되지 않고 일반적인 스키마의 특징만 제시된다면 스키마라고만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2)
( )은(는)‘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즉 실제 저장되는 데이터는 아니지만, 저장되는 데이터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즉 무슨 데이터인지를 묻고 있으므로 메타 데이터라고 하는 것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가장 정확한 답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Delete * From 테이블명
으로 작성해도 동일합니다.
하지만 Delete는 특정 속성만을 선택적으로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레코드 단위로 무조건 삭제이므로
항상 속성을 지정할 때 *을 기본으로 합니다. 그래서 생략하는 것이죠.
4)
특정 변수를 사용하라는 별도의 조건이 없다면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는 답안을 맞게 채점됩니다.
5)
답안 작성 시
데이터베이스의 ( ) 라고 제시된다면 구현이 맞겠지만
단순히 괄호만 제시된다면 데이터베이스 구현도 맞을 수 있으며
카디널리티, 기수, 대응수와 같이 같은 의미의 다른 표현도 맞게 채점됩니다.
문제에서 답안 작성 시 영문, 한글, 약어 등의 표현이 없으면 어느 것으로 작성해도 관계가 없습니다.
하지만 작성 방법이 제시된 경우 제시된 방법으로 작성된 답안만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